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은[中隱] ~ 중일[中日] ~ 중장원[仲長園]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115  

중은[中隱] 대은(大隱)은 도회지에 숨고 중은은 한산한 관직 속에 숨고 소은(小隱)은 산속에 숨는다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하급 관직에 있는 것을 뜻한다. <長慶集 卷五十二 中隱詩>

중인[中人] 권세 있는 귀행자(貴幸者)를 말한다. 진서(晉書) 이밀전(李密傳)이밀이 조정에 아는 사람이 없어서 마침내 한중태수(漢中太守)로 좌천되어 동당(東堂)에서 전별연(餞別宴)을 벌였는데, 무제(武帝)가 부()를 짓게 하였다. 그 부의 끝부분에 사람들이 말하기를 연줄이 있어야 한다. ()에 잘 아는 귀행자[中人]가 없으면 초야로 돌아가는 것이 낫다하나, 훌륭한 임금이 위에 있으니 이 말이 어찌 사실이랴하였다.” 했다.

중인환시[衆人環視] 많은 사람들이 둘러서서 봄.

중일[中日] 사흘 중의 가운데 날의 뜻이다. 간지(干支)에 인(((()가 드는 날을 초일(初日)이라 하고 자(((()가 드는 날을 중일이라 하고 진(((()가 드는 날을 종일(終日)이라 하며, 군문(軍門)에서 초일에는 연습하고 중일에는 시사(試射)한다는 등 규례를 둔다. , 중일시사(中日試射) 등에서 입격(入格)한 자에게는 직부전시(直赴殿試) 등 상주는 규례가 있다.

중임석[重任石] 큰 돌을 지다.

중자아[仲子鵝] 중자는 전국시대 제()나라의 청렴하기로 이름난 진중자(陳仲子)인데 그의 형님 집에서 거위 고기를 먹다가 그것이 어떤 사람으로부터 예물로 받은 것이라는 말을 듣고 나가 토해 버렸다 한다.

중장원[仲長園] 후한(後漢)의 명사(名士) 중장통(仲長統)의 원림(園林)으로, 오준(吳竣)의 정원을 가리킨다. 중장통이 자기의 원림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심경을 읊은 낙지론(樂志論)’이라는 짧은 글이 유명하다. 벼슬로 부를 때마다 병을 핑계대곤 하였는데, 일찍이 그의 뜻을 밝히기를 뒤에는 산이 있고 앞에는 시내를 굽어보는 곳, 도랑을 파 주위를 두르고 대숲이 에워싼 그곳이면 사체(四體)를 편히 쉬면서 우주 밖으로 나가 노닐 수가 있으니, 어찌 제왕의 문에 들어가는 것을 부러워하랴.”고 하였다. <後漢書 仲長統傳>

 

 



번호 제     목 조회
4685 요무성[了無聲] ~ 요봉문필[堯峯文筆] ~ 요부[堯夫] 2481
4684 이오가이리오국[利吾家而利吾國] ~ 이옹[伊翁] ~ 이완평[李完平] 2482
4683 대게[大偈] ~ 대고[大孤] ~ 대곡리[大谷梨] 2483
4682 무복[誣服] ~ 무봉연우[無捧硯牛] ~ 무부잔기격장도[無復殘機激壯圖] 2484
4681 백전[白戰] ~ 백전백승[百戰百勝] ~ 백전시[白戰詩] 2484
4680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484
4679 화봉삼축[華封三祝]~화불단행[禍不單行]~화사첨족[畵蛇添足] 2484
4678 방협[謗篋] ~ 방호[方壺] ~ 방회[方回] 2485
4677 초자불성무협몽[楚子不成巫峽夢]~ 초장록[蕉藏鹿] ~ 초재진용[楚材晉用] 2485
4676 울단[鬱單] ~ 울륜포[鬱輪袍] ~ 울림석[鬱林石] 2486
4675 야합[野合] ~ 야행론[夜行論] ~ 야호[野狐] 2491
4674 이의분청탁[二儀分淸濁] ~ 이이[李珥] ~ 이이제이[以夷制夷] 249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