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천액[中天厄] ~ 중초탁고계[衆草擢孤桂] ~ 중취독성[衆醉獨醒]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41  

중천[重泉] 지명. 걸이 탕왕을 잡아둔 곳이다.

중천뢰[中天籟] 천둥소리는 크게 깨우침을 뜻한다.

중천액[中天厄] 해가 중천에 떠 있는 것과 같은 전성기(全盛期)를 지나면 일단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것이 필연적인 운명임을 이른다.

중초탁고계[衆草擢孤桂] () 나라 극선(郤詵)이 천하제일의 대책문으로 과거에 급제한 뒤 계수나무 숲 속의 가지 하나요, 곤륜산의 한 조각 옥돌이다.[桂林之一枝 崑山之片玉]”라고 자칭한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52 郤詵列傳>

중추[中樞] 중추원을 말한다. 중추원은 고려 때 왕명(王命)의 출납과 숙위(宿衛군기(軍機) 등의 일을 맡던 관아. 밀직사(密直司) 혹은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친 때도 있었다.

중춘[仲春] 음력 2월이다.

중충좌[重虫坐] 충사(虫絲)가 겹겹이 쌓인 누추한 자리를 말한다. () 나라 유장경(劉長卿)의 숙쌍봉사시(宿雙峯寺詩)적막한 선송의 자리엔 방 가득히 충사가 얽혀 있네.[寥寥禪誦處 滿室虫絲結]”라고 하였고, 유신(庾信)의 시에는 충사가 정히 몇 겹이던고.[虫絲定幾重]”라고 하였다.

중취군혼[衆醉群昏] 중취군혼은 세상이 온통 술에 취한 듯 혼탁하기 그지없다는 말로, 세상을 굳이 탓할 게 없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다. () 나라 굴원(屈原)어부사(漁父辭)’혼탁한 세상 속에서 나 홀로 깨끗하고 취한 세상 사람 속에서 나 홀로 깨어 있기 때문에 쫓겨났다.”는 굴원의 말에 대해 세상이 모두 혼탁하면 왜 진흙탕을 휘저어 흙탕물을 일으키지 않고, 사람들이 모두 취해 있으면 왜 술지게미를 먹고 박주(薄酒)를 마시려 하지 않는 것인가.” 하고 어부(漁父)가 힐책하고는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으면 되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면 되리.”라는 노래를 뱃전을 치고 부르면서 떠나갔다는 내용이 전한다.

중취독성[衆醉獨醒] 세상의 모든 사람이 불의와 부정을 저지르고 있지만 혼자 깨끗한 삶을 산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649 당망[曭莽] ~ 당무백도아[堂無伯道兒] ~ 당반환제마[唐班煥制麻] 2518
4648 병경치뢰[甁罄恥罍] ~ 병두국[幷頭菊] ~ 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2519
4647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20
4646 방편[方便] ~ 방향[方響] ~ 방현로[妨賢路] 2521
4645 융의[戎衣] ~ 융준공[隆準公] ~ 융중[隆中] 2521
4644 내의무[萊衣舞] ~ 내의지덕[來儀之德] ~ 내정채복[萊庭綵服] 2523
4643 무성취[無聲臭] ~ 무성현단[武城絃斷] ~ 무수지정[舞獸之庭] 2523
4642 수수방관[袖手傍觀] ~ 수숙빈교의[嫂叔貧交誼] ~ 수식태평연제력[誰識太平緣帝力] 2523
4641 석주[石洲] ~ 석지[石砥] ~ 석참충빙루[昔慚蟲氷陋] 2524
4640 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 ~ 아군환서[鵝群換書] ~ 아금[牙琴] 2524
4639 이연[貽燕] ~ 이영[李穎] ~ 이오[夷吾] 2524
4638 보리[甫里] ~ 보리수[菩提樹] ~ 보리자[菩提子] 252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