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증모[烝髦] ~ 증모혹[曾母惑] ~ 증민[蒸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93  

증모[烝髦] 증은 나아간다는 뜻이고, 모는 농사일을 부지런히 하여 풍년이 들게 한 농부들을 높여 이른 말로, 시경(詩經) 소아(小雅) 포전(甫田)……우리 훌륭한 농부들을 찾아가 위로하네.[烝我髦士]”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공경(公卿)이 자기 채지(采地)의 백성들을 이렇게 위로했던 것이다.

증모애[曾母愛] 증자가 비읍(費邑)에 있을 때 그와 성명이 같은 사람이 사람을 죽인 일이 있었는데, 어떤 자가 베를 짜고 있던 증자 어머니에게 증삼(曾參)이 사람을 죽였답니다.”라고 알리자, 내 자식이 그럴 리가 없다고 믿지 않고 계속 베틀에 앉아 있다가 세 번째 딴 사람이 또 와서 똑같은 말을 하니, 진짜로 믿고 겁이 나 도망갔다고 한다. <戰國策 秦 卷二>

증모혹[曾母惑] 증모는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어머니를 말한다. 증삼이 비() 땅에서 살 때 그와 이름이 같은 자가 사람을 죽여 옆 사람이 잘못 알고 증삼의 어머니에게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알렸다. 처음에는 믿지 않고 변함없이 베를 짜고 있다가 나중에 또 두 사람이 계속 와서 알리자 겁이 난 나머지 북을 던져버리고 담을 넘어 도망갔다 한다. 흔히 거짓말이라도 여러 번 들으면 그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는 비유로 쓰인다. <戰國策 秦二>

증민[曾閔] 공자(孔子)의 제자인 증자(曾子)와 민자건(閔子騫)을 합칭한 말인데, 모두 효행(孝行)이 뛰어났다.

증민[蒸民] 시경(詩經) 대아(大雅) 중의 편() 이름으로 주()의 시조(始祖) 후직(后稷)의 공덕을 칭송한 글인데, 후직은 농사를 발달시켰으므로 후세에 곡식의 신[穀神]으로 받든다.

증부[曾敷] 겹겹이 피다.

증빙[增冰] 겹친 얼음.

 

 



번호 제     목 조회
4925 초부족[貂不足] ~ 초사청풍[楚些靑楓] ~ 초산[楚山] 2780
4924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2344
4923 초미금[焦尾琴] ~ 초미지급[焦眉之急] ~ 초방[椒房] 2929
4922 초명[蟭螟] ~ 초목고[草木枯] ~ 초목충어학[草木虫魚學] 3595
4921 초룡장[草龍帳] ~ 초룡주장[草龍珠帳] ~ 초루[楚纍] 3480
4920 초료[鷦鷯] ~ 초료기일지[鷦鷯寄一枝] ~ 초료택지[鷦鷯擇枝] 2882
4919 초로인생[草露人生] ~ 초록동색[草綠同色] ~ 초록반혹황중객[蕉鹿反惑隍中客] 3273
4918 초동[焦桐] ~ 초동급부[樵童汲婦] ~ 초량주[招涼珠] 3309
4917 초대춘몽[楚臺春夢] ~ 초도[初度] ~ 초도왕[楚悼王] 2946
4916 초당남수[草堂柟樹] ~ 초당수문단장인[草堂誰問斷腸人] ~ 초당시성[草堂詩聖] 2857
4915 초근목피[草根木皮] ~ 초녀[楚女] ~ 초능지녕[草能指侫] 2849
4914 초구현장[楚丘縣長] ~ 초국석위손[楚菊夕爲飱] ~ 초균[楚均] 2649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