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구우[止邱隅] ~ 지균[指囷] ~ 지기[支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23  

지구우[止邱隅] 시경(詩經) 소아(小雅) 면만(綿蠻)綿蠻黃鳥 止于丘隅가 있다.

지귀[至貴] 지극히 오묘한 말.

지균[指囷] 쌀 창고를 손으로 가리켜 보임. 삼국 시대 오() 나라 노숙(魯肅)이 주유(周瑜)에게 쌀 창고를 가리켜 보이면서 그것을 주유에게 준 고사에서 온 말인데, 후세에는 일반적으로 친구 간에 서로 도와주는 것을 비유하여 말한다.

지극[止棘] 파리 떼를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청승(靑蠅)에 참소하는 사람들을 파리로 비유하여 경계시키면서 윙윙대는 파리 떼 가시나무에 앉아 있네.[營營靑蠅 止于棘]”라고 하였다.

지극지승[止棘之蠅] 시경(詩經) 청승(靑蠅)앵앵거리는 쉬파리 가시나무에 앉았도다. 참소하는 사람 못 할 짓 없이 사방의 나라 교란하도다.” 하였다.

지금[秪今] 다만 이제.

지기[支祈] ()가 치수하면서 세 번이나 동백산(桐柏山)에 가 만난 회와(淮渦)의 수신(水神)으로 우는 그 수신을 경진(庚辰)이라는 신에 맡겨 제어하게 했던 바, 경진이 그를 귀산(龜山)의 발에다 묶어두고 꼼짝 못하게 하여 회수(淮水)가 비로소 제 길을 찾아 흐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무지기(巫支祈). <繹史 夏禹紀注>

지기[知己] 자기를 참으로 알아주는 이를 말한다. 옛날에 선비는 지기(知己)를 위하여 죽어 준다.”는 말이 있다.

지기[支祈] 지기는 보통 지기(支祁)라고 하는데 물귀신인 무지기(无支祁)의 약칭이다. 하우씨(夏禹氏)가 홍수를 다스릴 때 그의 목을 굵은 쇠사슬로 묶어 바다 속에 가두었다는 전설이 태평광기(太平廣記) 467 인용 주석에 나온다.

지기[支機] 직녀성(織女星)의 베틀 고인돌. 집림(集林)有人尋河源 見婦人浣紗 問之 曰此天河也 乃與一石而歸 問嚴君平 君平曰 此織女支機石也라고 보임.

 

 



번호 제     목 조회
4673 치국여선[治國如鮮] ~ 치도[馳道] ~ 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2491
4672 보력[寶曆] ~ 보로[寶璐] ~ 보류일단[報劉日短] 2492
4671 선명[先鳴] ~ 선문비침[扇蚊飛枕] ~ 선미[璿楣] 2496
4670 의난개혁업[猗蘭開奕業] ~ 의남초[宜男草] ~ 의당집봉[議堂集鳳] 2497
4669 원효니[袁孝尼] ~ 월견폐괴[越犬吠怪] ~ 월관[越冠] 2499
4668 채란[采蘭] ~ 채란시[採蘭詩] ~ 채륜[蔡倫] 2499
4667 천경[天傾] ~ 천계[天雞] ~ 천고청불난[天高聽不難] 2499
4666 무정하[無定河] ~ 무지기[巫支祈] ~ 무지기루대[無地起樓臺] 2500
4665 복거지계[覆車之戒] ~ 복곡[伏鵠] ~ 복금와리[宓琴臥理] 2500
4664 영류[零柳] ~ 영릉[零陵] ~ 영릉[零陵] 2503
4663 납서점벽[納書粘壁] ~ 납의[衲衣] ~ 납제금곡원제노[蠟啼金谷怨齊奴] 2506
4662 녹문[鹿門] ~ 녹문경[鹿門耕] ~ 녹문계[鹿門計] 250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