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난이퇴[知難而退] ~ 지당대신[至當大臣] ~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395  

지난이퇴[知難而退] 사정이 좋음을 보고 진격하고, 어렵다는 것을 알고는 물러남.

지남거[指南車] 지남거는 황제(黃帝)가 치우(蚩尤)와 탁록(涿鹿)에서 싸울 때 만들었다고 전하는 수레로,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서 나아가도록 만들어진 수레이다.

지남거[指南車] 남쪽을 가리켜 보이는 기계가 설치된 수레. 고금 주(古今注) 여복(輿服)() 나라 때 월상국의 사신이 백치(白雉)와 흑치(黑雉) 각 한 마리, 상아(象牙) 한 개를 바치고 돌아갈 때 주공이 지남거를 만들어 주었는데, 1년 만에 무사히 귀국했다.” 하였다.

지니[芝泥] 인주(印朱)를 가리키는 말인데, 또는 자분(紫粉)이라고도 한다.

지당대신[至當大臣] 간언 없이 무조건 당연하다는 간신.

지당몽[池塘夢] 남조(南朝) () 나라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이 집안의 아우 사혜련(謝惠連)의 시를 늘 칭찬했는데, 하루는 뜨락의 연못 가에서 종일 신음만 하며 시를 짓지를 못하다가, 깜박 잠이 들어 혜련을 보고 깨어나서는 연못가에 봄풀이 돋는구나.[池塘生春草]”를 얻어 뛰어난 시구라고 감탄했다 한다. 멀리 있는 아우를 그릴 때 인용하는 말이다.

지당생초[池塘生草] 남조 송(南朝宋) 때 사영운(謝靈運)이 시 한 구절을 채우지 못해 애를 쓰다가 갑자기 꿈에 아우인 사혜련(謝惠連)을 만나 그에게서 못둑에 봄풀이 나다.[池塘生春草]’라는 구절을 얻었던 데서 온 말이다.

지당생춘초[池塘生春草] 동진(東晉)의 시인 사령운(謝靈運)이 말하기를 매양 시를 지을 때에 혜련(惠連)을 대하면 문득 아름다운 귀절을 이루었다. 일찍 영가(永嘉)가 서당(西堂)에서 시를 생각하다가 온종일 못 지었는데, 문득 혜련을 꿈에 보고 지당생춘초(池塘生春草)라는 구를 얻었는데, 그것은 신공(神功)이지, 내 말이 아니다.” 하였다.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지당춘초(池塘春草)의 구절이란 곧 깜짝 놀랄 만한 시구의 일컬음이다. 남조 송 때 사혜련(謝惠連)이 어릴 적부터 글을 잘하여, 족형인 사영운이 그를 매우 대견스럽게 여겼다. 그런데 한번은 사영운이 하루종일 어떤 시구를 생각하였으나 얻지 못하다가 문득 꿈에 혜련을 만나 그에게서 지당에 봄풀이 난다.[池塘生春草]”는 시구를 얻고는 이 구절을 대단히 잘된 것으로 여겨, 항상 이르기를 이 말이야말로 신공(神功)이 들어 있어서, 내가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하였다. <南史 卷十九 謝惠連傳>

 

 



번호 제     목 조회
53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5855
52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5862
51 금성옥진[金聲玉振] ~ 금성척처[金聲擲處] ~ 금성탕지[金城湯池] 5870
50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875
49 징사[徵士] ~ 징심지관[澄心止觀] ~ 징청지[澄淸志] 5877
48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5882
47 자양벽파[紫陽劈破] ~ 자양옹[紫陽翁] ~ 자여[子輿] 5884
46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895
45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5900
44 중선금[仲宣襟] ~ 중선루[仲宣樓] ~ 중성[中聖] 5900
43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913
42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5914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