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상담병[紙上談兵] ~ 지생모[紙生毛] ~ 지성설적상[至誠說狄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900  

지산[芝山] 지산은 조호익(曺好益)의 호이다.

지상담병[紙上談兵]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는 뜻으로, 이론에만 밝을 뿐 실제적인 지식은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지생[脂生] 공융이 조조(曹操)에게 죽음을 당했을 때 아무도 그 시신(屍身)을 수습해 주는 사람이 없었는데, 일찍이 친하게 지내던 지습(脂習)이 시체를 어루만지며 문거(文擧 공융의 자())가 나를 버리고 죽었으니, 내가 살아서 무엇하랴.[文擧舍我死 吾何用生焉]”라고 애도를 하다가 조조에게 죽을 뻔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孔融傳>

지생모[紙生毛] 고관(高官)의 집에 명자(名刺)를 자주 들여서 종이에 털이 났다는 말이다.

지서[至曙] 새벽이 되다. 날이 밝다.

지석조우[智昔曹愚] 논어 공야장에 영무자(甯武子)는 나라에 도()가 있을 때는 지혜롭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어리석었으니, 그 지혜는 미칠 수 있지만 그 어리석음은 미치기 어렵다.” 했다.

지선[地仙] 지행선(地行仙)의 준말로, 신선처럼 한가하게 은거 생활을 하는 노인을 뜻하는 말이다.

지성[芝城] 봉래산(蓬萊山)에 있다는 신선 궁전.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至極)한 정성(精誠)에 하늘이 감동(感動)한다.

지성설적상[至誠說狄相] 적상은 당()의 명재상 적인걸(狄仁傑)을 가리킨다. 당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아들 중종(中宗)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직접 나라를 다스렸는데, 적인걸이 자주 모자간의 은정을 말하자, 측천무후는 깨닫고 방주(房州)에 쫒겨가 있던 중종을 소환하여 다시 임금을 삼았다. <新唐書 狄仁傑傳>

 

 



번호 제     목 조회
4769 초성[楚聲] ~ 초소성지언[楚昭誠知言] ~ 초소유매[楚騷遺梅] 2360
4768 태계[台階]~태공[太公]~태공망[太公望] ~태공병법[太公兵法] 2361
4767 천짐저창[淺斟低唱] ~ 천착[穿鑿] ~ 천참[天塹] 2362
4766 동공원자건[董公元自健] ~ 동공이곡[同工異曲] ~ 동곽지랑[東郭之良] 2363
4765 사준성경당여제[事遵誠敬當如祭] ~ 사중구활[死中求活] ~ 사중우어[沙中偶語] 2368
4764 양상객[梁上客] ~ 양상도회[梁上塗灰] ~ 양생읍로기[楊生泣路歧] 2372
4763 의이거[薏苡車] ~ 의이방[薏苡謗] ~ 의이장소골[薏苡長銷骨] 2376
4762 성철욕승부[聖哲欲乘桴] ~ 성충[成忠] ~ 성취초[醒醉草] 2378
4761 책책[嘖嘖]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 처성자옥[妻城子獄] 2378
4760 나타제호[懶惰啼呼] ~ 나함택사[羅含宅舍] ~ 나향독우경출주[懶向督郵傾秫酒] 2379
4759 이상[履霜] ~ 이상동몽[異床同夢] ~ 이상질[李尙質] 2381
4758 대공신관[帶孔新寬] ~ 대관제물[大觀齊物] ~ 대구승[大廐丞] 238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