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차녀[姹女] ~ 차대질[嗟大耋] ~ 차복배중록[且覆杯中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06  

차녀[姹女] 단약(丹藥)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수은(水銀)의 별칭이다.

차대[次對] 삼상(三相옥당(玉堂대간(臺諫) 등이 정무(政務)를 상주하던 일이다.

차대질[嗟大耋] 주역(周易) 이괘(離卦) 구삼효(九三爻)해가 기우는 것이 이()이니, 질장구 치고 노래 부르지 않으면 대질(大耋)을 탄식하게 되는지라, 흉하리라.” 하였는데, 이는 사람이 죽음을 맞이하는 때의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차도[次道] () 나라 때 대장군 왕돈(王敦)의 주부(主簿)를 지냈던 하충(何充)의 자()이다.

차래불식[嗟來不食] () 나라 검오(黔敖)는 흉년에 밥을 지어서 길가에 왕래하는 굶주린 사람을 먹이는데 어느 한 사람이 굶주려서 기운 없이 오는 것을 보고 아아, 불쌍하다. 와서 먹어라.” 하니, 그 사람은 나는, ‘불쌍하다, 먹어라하는 밥을 먹지 않기 때문에 이 지경에 이르렀다.” 하면서 먹지 않았다.

차령[車嶺] 공주(公州)와 천안(天安)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인조(仁祖) 2년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서울로 진입하자 왕이 백관을 이끌고 이 고개를 넘어 공주(公州)로 피신하였다.

차리야[遮梨夜] ()이라고 번역한다.

차막[遮莫] 차막은 속어로 진교(儘敎)와 같은 뜻인데, 제한을 가하지 않고 마음대로 하게 하는 것이다.

차문차답[且問且答] 한편으로는 물으면서 한편으론 대답한다.

차보[차보] 차보는 길이가 짧고 바닥이 깊은 거룻배를 가리킨다.

차복배중록[且覆杯中淥] 날이 어두워져서 그만 떠날 때가 되었다는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에 시간 연장해 주지 않는 서산의 해를 가리키며, 아쉬움과 탄식 속에 마시던 술잔 뒤엎누나.[共指西日不相貸 喧呼且覆杯中淥]”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8 醉爲馬墜諸公携酒相看>

 

 



번호 제     목 조회
545 천부[天府] ~ 천부농단경분리[賤夫壟斷競分釐]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2310
544 원중랑[袁中郞] ~ 원중종죽개삼경[園中種竹開三逕] ~ 원진[元稹] 2309
543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 ~ 채화지[採華芝] 2308
542 봉사[鳳社] ~ 봉산관[蓬山館] ~ 봉산장실[蓬山藏室] 2307
541 병편작목[秉鞭作牧] ~ 병혈[丙穴] ~ 병협군[騈脅君] 2305
540 사롱[紗籠] ~ 사롱정호[紗籠正護] ~ 사롱호상인[紗籠護像人] 2305
539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2301
538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301
537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299
536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298
535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294
534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293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