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창주[滄洲] ~ 창주기[蒼州期] ~ 창주이로[蒼洲二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81  

창주[滄洲] 주자(朱子)의 호. 창주에 정사(精舍)를 짓고 호를 창주라 했다.

창주[滄洲] 창주는 원래 해변가 은자(隱者)의 거처를 말하는데, 남조 제(南朝齊)의 시인 사조(謝朓)가 선성(宣城)에 부임하여 창주의 풍류를 즐겼다는 고사에서 기인하여, 당시(唐詩)에서 강남(江南)의 유벽(幽僻)한 주군(州郡)을 가리킬 때 곧잘 쓰는 표현이 되었다.

창주[滄洲] 창주는, 삼국 시대 위() 나라 완적(阮籍)창주를 굽어보며 지백에게 사례하고, 기산에 올라 허유에게 절을 한다.[臨滄洲而謝支伯 登箕山以揖許由]”라는 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후 산수 좋은 은사(隱士)의 거처로 쓰이게 되었다.

창주기[蒼州期] 선경(仙境) 속에 함께 숨어살기로 기약한 것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 나라 완적(阮籍)위정충권진왕전(爲鄭沖勸晉王箋)’창주를 굽어보며 지백에게 사례하고, 기산에 올라가 허유에게 읍을 한다.[臨蒼州而謝支伯 登箕山而揖許由]”라는 말에서 기인하여, 창주가 은자(隱者)의 거처로 쓰이게 되었다. 참고로 두보(杜甫)옛날 혜원(惠遠) 및 허순(許詢)과 함께, 중년에 창주에서 살기로 약속했지.[往與惠詢輩 中年蒼州期]”라는 표현이 있다. <文選 卷40·杜少陵詩集 卷23>

창주독유향[昌州獨有香] 해당화(海棠花)가 향기가 없는데, 오직 창주(昌州)의 해당화는 향기가 있다 한다.

창주미불의[滄洲未拂衣] 창주(滄洲)는 선경(仙境)을 가리킨다. 이백(李白)의 시에 공을 이루면 옷 떨치고 떠나가서, 창주 물가 찾아 소요하리라.[功成拂衣去 搖曳滄洲旁]”라는 구절이 있고, 두보(杜甫)의 시에 벼슬에 얽매인 몸 창주는 요원한 꿈이라서, 옷 떨치지 못하는 걸 그저 슬퍼할 따름일세.[吏情更覺滄洲遠 老大徒傷未拂衣]”라는 구절이 있다.

창주이로[蒼洲二老] 옛날 주()의 학정을 피해 물가에서 숨어살았던 백이(伯夷)와 태공(太公)을 말한 것.

 

 



번호 제     목 조회
4745 상참[常參] ~ 상채[上蔡] ~ 상채응[上蔡鷹] 2407
4744 보장[保障] ~ 보정[報政] ~ 보정귀전지[寶鼎貴顚趾] 2408
4743 무사[蕪史] ~ 무사시폐훈[無邪詩蔽訓] ~ 무사주시[無邪周詩] 2411
4742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2411
4741 병사[甁史] ~ 병사지야[兵死之也] ~ 병상여[病相如] 2412
4740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414
4739 청필[淸蹕] ~ 청필삼성[淸蹕三聲] ~ 청한자[淸寒子] 2415
4738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16
4737 녹마불변[鹿馬不辨] ~ 녹마전대[鹿馬專對] ~ 녹명시[鹿鳴詩] 2418
4736 묘주[卯酒] ~ 묘착장인륜[妙斲匠人輪] ~ 묘체[妙諦] 2420
4735 일제[日躋] ~ 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 일주관[一柱觀] 2420
4734 이용[利用] ~ 이우나포슬[犛牛那捕虱] ~ 이우북당[伊優北堂] 242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