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창중서[倉中鼠] ~ 창창비정색[蒼蒼非正色] ~ 창천불은노성인[蒼天不憖老成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89  

창중서[倉中鼠] 이사(李斯)는 초() 나라 사람인데 일찍이 고향에서 소리(小吏)로 있다가 칙간[]에 들어가서 똥을 먹는 쥐를 보고는 탄식하기를 이 쥐가 이 더러운 데 있지 않고 나라의 쌀창고에 살았더라면 얼마나 편하고 배부를 것인가. 사람도 이와 같다.” 하고는 곧 진() 나라에 들어가서 승상(丞相)이 되어 부귀를 누리다가 필경에 혹독한 형벌을 받아 죽었다. 여기서는 부귀가 화()가 될 줄 깨닫지 못하였다는 뜻이다.

창중수[窓中岫] 사조(謝脁)가 여법조(呂法曹)에 화()창문 정면에 먼 멧부리 늘어섰고 뜰 가에 높은 수목 우거졌네.” 하는 시를 말한 것이다.

창창[倀倀] 갈질을 잃어 헤매는 모양.

창창[凔凔] 냉랭한 모양. 추운 모양, 하늘의 넓고 푸른 모양.

창창[惝惝] 넋을 잃고 멍하게 있는 모양.

창창[倡倡] 빛깔이 화려한 모양.

창창[摐摐] 소리가 크면서 명랑한 모양, 뒤얽혀 어지러운 모양.

창창[愴愴] 슬픈 모양, 슬퍼 상심하는 모양.

창창[悵悵] 한탄하는 모양.

창창[暢暢] 화락한 모양.

창창비정색[蒼蒼非正色] 하늘은 푸르른 색깔처럼 정대한 것이 아니겠느냐는 뜻으로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하늘이 푸른 것은 원래 그렇기 때문인가, 아니면 다다를 수 없이 너무 떨어져 있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인가.[天之蒼蒼 其正色邪 其遠而無所至極邪]”라는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창천불은노성인[蒼天不憖老成人] 노성인(老成人)은 나이가 많아 경험이 풍부한 선배를 말한다. 공자(孔子)가 죽자 노 애공(魯哀公)의 뇌사(誄辭)호천(昊天)이 돕지 않아 한 노인을 남겨두지 않았다.”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孔子家語>

 

 



번호 제     목 조회
4817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2278
4816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278
4815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278
4814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280
4813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281
4812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282
4811 천부[天府] ~ 천부농단경분리[賤夫壟斷競分釐]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2285
4810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289
4809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290
4808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292
4807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294
4806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229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