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창촉[菖歜] ~ 창포고[菖蒲苦] ~ 창피[猖被] ~ 창해검무흔[蒼海劒無痕]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66  

창촉[菖歜] 창포(菖蒲)로 담근 김치를 말한다. 좌전(左傳) 희공(僖公) 삼십(三十)향례(饗禮)에 창촉이 있었다.” 한 주에 창촉은 창포저(菖蒲葅)이다.” 하였다. 황정견(黃庭堅)의 발서덕수초서(跋徐德修草書)德修之嗜吾書 與楚文之昌歜 屈到之芰 點也之羊棗 何異哉라 하였다. 또 육유(陸游)의 시에 尙有愛書心 還若嗜昌歜이라는 구가 있다.

창평[昌平] 현 북평(北平)의 북쪽 고을. 북평 북방의 첫째 요해지.

창포[菖蒲] 사람을 오래 살게 하는 풀로 일명 창양(昌陽)이다.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창양은 장수하게 한다.[昌陽引年]” 하였다.

창포고[菖蒲苦] 단오일에 창포가루를 술에 타 마신다.

창포주[菖蒲酒] 단오절에 창포즙을 넣어 빚은 술을 먹으면 역질(疫疾)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한다.

창피[猖被] 이소경(離騷經) 주에 창피는 옷 입고 띠를 묶지 않은 것과 같다.” 하였다.

창합[閶闔] 하늘 위의 백옥경. 창합은 신선이 사는 하늘 궁궐의 문으로, 보통 도성 문을 가리킨다.

창합낭간[閶闔琅玕] 창합은 원래 하늘로 통하는 문이나 전하여 궁문(宮門)을 말하고, 낭간은 아름다운 문장을 말한다. 한유(韓愈)의 시 착착(齪齪)’구름을 헤치고 창합을 향해 부르짖으며, 마음을 열고 낭간을 올리리라.[排雲叫閶闔 披腹呈琅玕]”라고 한 구절이 있다.

창합풍[閶闔風] 태괘(兌卦)의 바람, 즉 정서풍(正西風)으로 가을바람을 가리킨다. <史記 律書>

창해[漲海] 남해(南海)의 고칭(古稱)이다.

창해검무흔[蒼海劒無痕] 잘 드는 칼로 물을 베면 벤 흔적이 없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45 병사[甁史] ~ 병사지야[兵死之也] ~ 병상여[病相如] 2421
4744 무사[蕪史] ~ 무사시폐훈[無邪詩蔽訓] ~ 무사주시[無邪周詩] 2423
4743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424
4742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2427
4741 화벽[和璧]~화병[畫餠]~화보[花譜]~화복동문[禍福同門]~화복무문[禍福無門] 2428
4740 청필[淸蹕] ~ 청필삼성[淸蹕三聲] ~ 청한자[淸寒子] 2432
4739 복백[復魄] ~ 복비[宓妃] ~ 복비죄[服誹罪] 2433
4738 녹마불변[鹿馬不辨] ~ 녹마전대[鹿馬專對] ~ 녹명시[鹿鳴詩] 2435
4737 묘주[卯酒] ~ 묘착장인륜[妙斲匠人輪] ~ 묘체[妙諦] 2435
4736 농수[隴水] ~ 농승[聾丞] ~ 농암집[農巖集] 2436
4735 상림일지[上林一枝] ~ 상림차일지[上林借一枝] ~ 상림축[桑林祝] 2436
4734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3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