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채번[綵幡] ~ 채번은[綵幡恩] ~ 채복인[彩服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27  

채백창[蔡伯昌] 백창은 채유후(蔡裕後)의 자이다.

채번[綵幡] (((() 등으로 만든 꾸미개이다. 옛날 입춘일이면 백관(百官)에게 이것을 나누어주어서 이를 머리에 달고 입조(入朝)하여 하례를 하게 하였는데, 하례를 마치고 나면 이를 머리에 단 채로 각각 귀가(歸家)했다고 한다.

채번[綵幡] 음력 정월 7일에 일곱 가지 채소로 국을 끓여먹고, 오색 종이로 깃발·제비·나비·금전 등의 형상을 만들어 머리 위에 꽂는 것을 채번 혹은 채승(綵勝)이라고 한다. <太平御覽 卷976>

채번은[綵幡恩] 채색의 표기인데, 옛날에 신년 원단(元旦)이 되면 조정에서 오색(五色)의 표기를 베풀고 군신()들을 조회시켜 잔치를 베풀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채복[綵服] 색동옷이라는 말로, 어버이에게 재롱을 떨어 기쁘게 해 드리는 효자를 표현한 말이다. 춘추 시대 초() 나라의 효자(孝子)인 노래자(老萊子)70세의 나이에 채색옷을 입고 어버이 앞에서 어린애의 장난을 하여 어버이를 기쁘게 했던 데서 온 말이다. 참고로 두보(杜甫)입주행(入奏行)’繡衣春當霄漢立 綵服日向庭闈趨라는 구절이 있다.

채복승환원[綵服承歡願] 어버이를 곁에서 모시며 기쁘게 해 드리려는 소망을 말한다. 춘추 시대 초() 나라 노래자(老萊子)70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하여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떨었던 채의오친(綵衣娛親)’의 고사가 있다. <藝文類聚 卷20 >

채복인[彩服人] 효행(孝行)을 일컫는 말이다. 전국 시대 초() 나라 현인(賢人) 노래자(老萊子)가 나이 70에 어린애처럼 색동옷을 입고 어린애같이 장난을 하여 부모를 즐겁게 한 데서 온 말이다. <史記 老子傳>

 

 



번호 제     목 조회
509 이거[貳車] ~ 이견[利見] ~ 양산락[梁山濼] 2233
508 채번[綵幡] ~ 채번은[綵幡恩] ~ 채복인[彩服人] 2228
507 청춘치오마[靑春馳五馬] ~ 청출어람[靑出於藍] ~ 청태부[靑苔賦] 2225
506 홍홍[泓泓]~홍화[弘化]~화각[畫角]~화간[禾竿]~화간[花間] 2224
505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223
504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222
503 어류영삼성[魚罶映三星] ~ 어리진[魚麗陣] ~ 어리침주토금인[馭吏沈酒吐錦茵] 2219
502 명재경각[命在頃刻] ~ 명전[冥筌] ~ 명조[鳴條] 2217
501 미액[微液] ~ 미연방[未然防] ~ 미열우[尾熱牛] 2216
500 섬곡회도[剡曲廻棹] ~ 섬곡회도거[剡曲迴棹去] ~ 섬굴계[蟾窟桂] 2215
499 왕자응림오류가[王子應臨五柳家] ~ 왕자지출적[王子之出迪] ~ 왕적향[王績鄕] 2214
498 사궁[四窮] ~ 사극[謝屐] ~ 사급계생[事急計生] 2209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