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책객[冊客] ~ 책기지심[責己之心] ~ 책비[責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002  

책객[冊客] 벼슬아치들의 자제(子弟)나 친빈(親賓).

책궁시[責躬詩]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꾸짖는 시문이라는 뜻으로, 조식의 글 가운데 상책궁응조시표(上責躬應詔詩表)’가 있다.

책기지심[責己之心] 스스로 제 허물을 꾸짖는 마음.

책난[責難] 하기 어려운 선한 일을 임금에게 꼭 하도록 권면하는 것을 말한다.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임금에게 어려운 일을 책임지우는 것을 공()이라 이르고, 선한 일을 진언하고 부정한 일을 막아버리는 것을 경()이라 한다.” 하였다. <孟子 離婁上>

책명[策名] 신하된 자를 기록한 간책(簡策)에다 이름을 기입한다는 말로 벼슬살이하는 것을 말하는데, 좌전(左傳) 희공(僖公) 2책명(策名), 위질(委質)하고서 두 마음을 가지면 죄를 받는다.’하였는데 주()옛사람들은 벼슬할 때에 죽간(竹簡)에다 자기의 이름을 써서 임금에게 바침으로써 신하의 절의를 다할 것을 밝혔다.” 하였다. 참고로 이능이 소무에게 답한 편지에 勤宣令德 策名淸時라 하였다.

책부[策府] 고대에 제왕의 서책을 간직해 둔 곳인데, 전하여 한림원을 가리키기도 한다.

책비[責備] 책비는 훌륭한 사람에게 조그마한 잘못도 지적하여 완전무결을 요구하는 것이다. 신당서(新唐書) 태종기찬(太宗紀贊)춘추(春秋)의 법은 항상 현자에게 책비한다.” 하였는데, 현자의 잘못을 두둔하지 않고 바로 쓰는 것을 춘추필법(春秋筆法)이라 한다.

책비[責備] 춘추(春秋)의 필법(筆法)에 어진 사람에게 책비(責備)하였는데, 책비란 것은 구비(具備)하기를 책()하는 것이다. 그것은 보통 사람에 대하여는 여간한 허물을 용서하거나 비판하지 않지만, 어진 사람에게 있어서는 조그만 허물이라도 비판하여 이런 어진 사람이 왜 이런 허물을 지었는가 하고 애석히 여기는 뜻으로 책망한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57 대공신관[帶孔新寬] ~ 대관제물[大觀齊物] ~ 대구승[大廐丞] 2400
4756 천엽연화[千葉蓮花] ~ 천오[天吳] ~ 천우교목[遷于喬木] 2403
4755 일두양[一頭讓] ~ 일두혈심[一斗血心] ~ 일마도강[一馬渡江] 2404
4754 원노산[元魯山] ~ 원도[原道] ~ 원도주[元道州] 2407
4753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 이궁각도[離宮閣道] ~ 이궁환우[移宮換羽] 2409
4752 인가문적루[隣家聞笛淚] ~ 인가적[隣家笛] ~ 인각도형[麟閣圖形] 2410
4751 보산[寶山] ~ 보서삼조[報書三鳥] ~ 보시[布施] 2411
4750 창귀[倀鬼] ~ 창낭고설가[滄浪鼓枻歌] ~ 창두군[蒼頭軍] 2413
4749 보장[保障] ~ 보정[報政] ~ 보정귀전지[寶鼎貴顚趾] 2416
4748 서[序] ~ 서가조[犀可照] ~ 서가지폐[徐家之肺] 2416
4747 참지흑서약[叅之黑黍龠] ~ 참진사[斬秦蛇] ~ 참최복[斬衰服] 2416
4746 상참[常參] ~ 상채[上蔡] ~ 상채응[上蔡鷹] 241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