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12  

처용[處容] 신라 헌강왕(憲康王)이 학성(鶴城)에 유람하고 개운포(開雲浦)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한 사람이 기이한 형상과 괴상한 의복 차림으로 임금 앞에 나아가 노래 부르고 춤추며 임금의 덕을 찬미하였고, 이어 임금을 따라 서울에 들어가서는 스스로 처용(處容)이라 이름하고 밤마다 달빛 아래 시가(市街)에서 춤추고 노래한 데서 온 말이다. 그는 마침내 간데없이 사라져 버렸는데, 세상 사람들은 그를 신()이라 하였고, 그가 가무(歌舞)하던 곳을 월명항(月明巷)이라 이름했으며, 후세의 처용가(處容歌처용무(處容舞)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二十一>

처음식영[處陰息影] 장자(莊子) 어부에 그늘에 처하여 그림자를 없애고[處陰息影] 고요하게 살면서 행적을 숨긴다.” 하였다.

처인[處仁] 논어(論語) 이인(里仁)공자가 말하기를, ‘마을의 인심이 인후(仁厚)한 것이 아름다우니, 그러한 마을을 가려 산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어짊에 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하였다.” 하였다.

처제[妻齊] 이 말은 백호통(白虎通) 가취 조(嫁娶條)에 보이는데, 아내는 남편과 신분이 동등하다는 뜻임.

처중[處仲] () 나라 조정에 반기(叛旗)를 들었다가 피살된 왕돈(王敦)의 자()이다. 그는 진 원제(晉元帝)를 도와 공을 세웠으나, 뒤에 공을 믿고 제멋대로 권력을 부리면서 마침내 난을 일으켰다가 성공하지 못하고 병사했다. <晉書 卷九十八>

처처[悽悽] 마음이 매우 구슬픈 모양, 굶어 병든 모양, 입은 은혜를 갚으려고 마음먹는 모양, 마음의 안정을 잃은 모양.

처처[凄凄] 신선한 바람, 차고 쓸쓸한 모양, 초목의 무성한 모양, 흐르는 모양, 구름이 뭉게뭉게 일어나는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4901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124
4900 대독[帶犢] ~ 대동비[大同碑] ~ 대동천[大洞天] 2125
4899 가산[假山]~가산[賈山]~가삽삼만축[架揷三萬軸] 2125
4898 천동[天童] ~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 천려일실[千慮一失] 2126
4897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126
4896 혼적군주유[混迹群侏儒]~혼점[混點]~혼정신성[昏定晨省]~혼취[混吹] 2126
4895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2130
4894 사천[史遷] ~ 사천[槎川] ~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2130
4893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2130
4892 토진간담[吐盡肝膽]~토찬[吐餐]~토탈[兎脫]~토포악발[吐哺握髮] 2131
4891 호시석노[楛矢石砮]~호시원[弧矢願]~호시지[弧矢志]~호시탐탐[虎視眈眈] 2132
4890 녹포[綠蒲] ~ 녹피옹[鹿皮翁] ~ 녹황[鹿隍] 2133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