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천동[天童] ~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 천려일실[千慮一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26  

천독[薦牘] 천독은 추천서를 말한다.

천동[天童] () 나라 때에 중 의흥(義興)이 산간에 집을 짓고 사는데, 한 동자(童子)가 날마다 섶과 물을 져다 주더니 뒤에 동자가 하직하고 가만히 말하되 나는 태백성(太白星)입니다.” 하고 말을 마치자 보이지 않았다. 후세에 그 터에 절을 지어 천동사(天童寺)라 이름하였다.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삼국 시대 때 이형(李衡)이 관직 생활을 청렴하게 하였는데, 그가 가산을 일구고자 하면 매번 그의 부인이 반대하였으므로 몰래 종을 보내어 무릉(武陵)의 물가에다가 귤나무 천 그루를 심었다. 이형이 죽을 때에 임해서 자식들에게 이르기를 무릉에 천 그루의 귤나무가 있으니 먹고 살 수가 있을 것이다.” 하였는데, 그 뒤에 그 귤나무가 자라 무릉에서 매년 비단 수천 필씩을 바쳐 왔으므로 집안이 부유해졌다. <三國志 吳書 卷48 孫休傳>

천등[千燈] 천의 등불이 이어짐은 전도(傳道)를 말한다.

천랑[天狼] 별 이름으로 침략을 주로 하는 주신(主神)이라 한다. 이것을 쏘는 장시(長矢)가 곧 햇살을 상징한다. 탐잔(貪殘)한 사람들을 비유한 것이다.

천랑[天狼] 천랑성(天狼星)은 별 이름인데, 그 이름이 낭()이라는 글자가 들었으므로 예전부터 천랑(하늘이리)를 쏜다는 말이 있으니, 그것은 악한 짐승에 비유한 것이다.

천려일득[千慮一得] 어리석은 사람도 많은 생각 가운데는 한 가지쯤 좋은 생각이 미칠 수 있다는 말이다.

천려일득[千慮一得] 어리석은 사람도 천 번 생각에 하나를 얻음. 지혜로운 사람의 생각이 면밀할지라도 실수할 수도 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의견이라도 취할 만한 것이 있음.

천려일실[千慮一失] 지혜로운 사람도 많은 생각 가운데는 간혹 실책(失策)이 있을 수 있다는 말.

천려일실[千慮一失] 천 가지의 생각 가운데 한 가지의 실수가 있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도 많은 일을 하는 중에는 실수가 있음을 말한다. <안자춘추>

 

 



번호 제     목 조회
4877 천학비재[淺學菲才] ~ 천향[天香] ~ 천형[踐形] 2160
4876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61
4875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161
4874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64
4873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165
4872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166
4871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171
4870 천책부[天策府] ~ 천촌만락[千村萬落] ~ 천추소자유[千秋蘇子遊] 2172
4869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174
4868 왕황후[王皇后] ~ 왕회[王會] ~ 왕회[王恢] 2180
4867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180
4866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18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