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천애부초리[天涯賦楚蘺] ~ 천앵도[薦櫻桃] ~ 천열류파세열인[川閱流波世閱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35  

천애부초리[天涯賦楚蘺] 멀리 떨어진 유배지(流配地)에서 자신의 결백한 심정을 토로한 것이라는 말이다. () 나라 굴원(屈原)이 지은 이소경(離騷經)강리와 벽지 향초 몸에 두르고, 가을 난초 엮어서 허리띠를 매었노라.[扈江蘺與辟芷紉兮 紉秋蘭以爲佩]”라는 구절이 나온다.

천애지각[天涯地角] 하늘의 끝과 땅의 귀퉁이라는 뜻에서, 아주 먼 곳을 이르거나 또는 아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음을 말한다.

천앵도[薦櫻桃] 중하(仲夏)의 시절을 가리킨다. 예기(禮記) 월령(月令)중하의 달에는 함도(含桃)를 먼저 침묘(寢廟)에 올린다.” 하였는데, 함도는 바로 앵도이다.

천양[穿楊] 궁술(弓術)이 뛰어남을 비유한 말. 춘추 시대에 양유기(養由基) 가 활을 잘 쏘았는데, 그가 백보(百步) 거리에서 버들잎을 쏘면 백발백중이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戰國策 西周策>

천양[穿楊] 뛰어난 활솜씨를 이름. 버들을 꿴다는 것은 화살이 버들잎을 꿰뚫는 것으로, 춘추 시대 때 초() 나라 사람인 양유기(養由基)가 활을 잘 쏘아서 1백 보 밖에서 버들잎을 쏘면 백발백중이었다고 한다. <戰國 西周策>

천양지차[天壤之差] 하늘과 땅의 차이(差異). , 커다란 차이. 천양지판(天壤之判).

천양지판[天壤之判] 하늘과 땅의 차이. 곧 아주 엄청난 차이.

천양현격[天壤懸隔] 하늘()과 땅()이 떨어져 있음과 같이 현격(懸隔)한 차이가 있는 것을 말한다.

천연[天淵] 별자리 이름. 열 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별성(鼈星) 동남쪽에 위치하며, 천천(天泉)이라고도 불린다.

천열류파세열인[川閱流波世閱人] 강물은 무수한 흐름을 떠내려보내면서 여전히 그대로 있고, 세상은 대대로 사람을 맞고 보내면서도 여전히 그대로 있다는 말로, 인생무상(人生無常)을 표현한 말이다. () 나라 육기(陸機)가 나이 사십에 친구들 대부분이 세상을 떠난 허전함을 비탄조(悲嘆調)로 읊은 탄서부(歎逝賦)’슬프다. 강물은 온갖 물줄기를 모아 큰 흐름을 이루는데, 그 물줄기는 날마다 도도하게 흘러가고, 세상은 온갖 사람들을 겪으면서 한 세대씩을 이루는데, 그 사람들은 하나 둘씩 늙어서 사라지는도다.[悲夫 川閱水以成川 水滔滔而日度 世閱人而爲世 人冉冉而行暮]”라는 구절이 있다. <文選 卷16>

 

 



번호 제     목 조회
4913 호위[虎闈]~호위문견[胡威問絹]~호유[胡荽]~호의[狐疑]~호의[縞衣] 2118
4912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119
4911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2119
4910 투할[投轄]~투핵[投劾]~투호[投壺]~특달규장[特達圭璋] 2120
4909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127
4908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28
4907 청죽게[靑竹偈] ~ 청진[淸塵] ~ 청징[淸澄] 2132
4906 황강유편[黃崗遺篇]~황강적[黃岡跡]~황견묘[黃絹妙] ~황견유부[黃絹幼婦] 2132
4905 천교목[遷喬木] ~ 천교쇄경핵[遷喬刷勁翮] ~ 천구영독윤[天球暎櫝潤] 2134
4904 대독[帶犢] ~ 대동비[大同碑] ~ 대동천[大洞天] 2136
4903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136
4902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4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