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천은망극[天恩罔極] ~ 천응증아달[天應憎我達] ~ 천의무봉[天衣無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75  

천은망극[天恩罔極] 하늘의 은혜가 끝이 없다는 데서, 임금의 은덕(恩德)이 한없이 두터움을 말한다.

천을[天乙] () 나라 탕()의 존칭이다.

천읍지애[天泣地哀] 하늘도 울고 땅도 슬퍼한다. , 천지(天地)가 다 슬퍼한다.

천응증아달[天應憎我達] 두보의 시에 문인의 영달을 하늘은 미워하고, 사람이 잘못되면 도깨비들이 좋아하네.[文章憎命達 魑魅喜人過]”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7 天末懷李白>

천의[茜衣] 꼭두서니의 뿌리에서 채취한 자황색 물감을 들여서 만든 옷이다.

천의[天衣] 임금이 입는 곤룡포를 말한다.

천의난멱봉흔처[天衣難覓縫痕處] 천의무봉(天衣無縫)을 말한다. 영괴록(靈怪錄)郭翰暑月臥庭中 迎視空中有人冉冉而下曰 吾織女也 徐視其衣 竝無縫 翰問之 謂曰 天衣本無針線爲也라 하였다. 그래서 지금 모든 일이 적상(迹象)을 찾을 수 없는 것을 들어 말한다.

천의무봉[天衣無縫] 천인(天人:하늘의 선녀)이 짠 옷은 솔기가 없다는 데서, 문장이 훌륭하여 손댈 곳이 없을 만큼 잘 되었음을 말한다. 완전무결(完全無缺)하여 흠이 없음을 이름.

천의무봉[天衣無縫] 하늘에 있다는 직녀가 입은 곳은 바느질 자국이 없다는 뜻으로, 시나 문장이 너무 자연스럽고 조금도 흠이 없는 것을 말한다. 용사비등(龍蛇飛騰).

천의무봉[天衣無縫] 하늘의 선녀 옷처럼 꿰맨 자국이 없음. 시문(詩文)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자국이 없음. 곧 기교의 흔적이 없이 자연스럽게 정리된 시문이나 서화(書畵)를 일컫는 말. 문장이 훌륭하여 손댈 곳이 없을 만큼 잘 되었음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4829 화전[花甎]~화전부진[火傳不盡]~화전유염[華牋濡染]~화접시[化蝶翅]~화접유룡[化蝶猶龍] 1917
4828 천학비재[淺學菲才] ~ 천향[天香] ~ 천형[踐形] 1918
4827 초저[草苴] ~ 초정자[楚亭子] ~ 초제[醮祭] 1919
4826 천엽연화[千葉蓮花] ~ 천오[天吳] ~ 천우교목[遷于喬木] 1922
4825 천원지방[天圓地方] ~ 천월노[喘月勞] ~ 천유[穿窬] 1922
4824 노화[爐火] ~ 노후반[魯侯泮] ~ 녹거귀[鹿車歸] 1923
4823 참지흑서약[叅之黑黍龠] ~ 참진사[斬秦蛇] ~ 참최복[斬衰服] 1923
4822 촉각[燭刻] ~ 촉견폐일[蜀犬吠日] ~ 촉노[燭奴] 1923
4821 부귀김장[富貴羨金張] ~ 부귀화[富貴花] ~ 부금[覆錦] 1926
4820 촉당귀[蜀當歸] ~ 촉도매복[蜀都賣卜] ~ 촉도행장[蜀道行裝] 1926
4819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1929
4818 초홀[秒忽] ~ 초화랍주[椒花臘酒] ~ 초황록몽[蕉隍鹿夢] ~ 초휴[楚咻] 192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