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43  

청노[靑奴] 죽부인(竹夫人)과 같은 것으로, 여름 밤에 끼고 자면서 서늘한 기운을 취하는 데 쓰는 대오리로 만든 제구이다. <事物異名錄 竹奴>

청니[靑泥] 화륜은 해를 가리키며 청니(靑泥)는 푸른 진흙이란 뜻으로 깊은 진흙 속을 가리킨 것이다.

청담[淸談] 명리(名利명문(名聞)을 떠난 청아(淸雅)한 이야기. 고상한 이야기. 위진 시대에 유행한 노장(老莊)을 조술(祖述)하고 속세를 떠난 청정무위(淸淨無爲)의 공리공론(空理空論).

청담[淸談] 청담은 고상한 담론, 또는 노장(老莊)을 숭상하여 세무(世務)를 벗어난 청정(淸淨)한 공리공담(空理空談)을 가리키는데, 특히 동진(東晉) 때 사문(沙門)인 지둔(支遁)을 비롯하여 왕연(王衍) 등이 청담으로 유명하였다.

청담아융[淸談阿戎] 청담은 속되지 않은 청아한 이야기를 말하고, 아융은 종제(從弟)의 별칭이다. 남제(南齊) 때 뜻이 청아하고 행검이 고결하기로 이름난 왕사원(王思遠)이 무제(武帝)가 죽어 명제(明帝)를 들여세우는 과정에서 권력을 행사하던 왕안(王晏)에게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가 후회가 없도록 하라고 권한 적이 있었는데, 그 말을 듣지 않았다가 나중에 말하기를 지난날 아융이 나에게 자제할 것을 권했는데 만일 그 말을 들었더라면 어찌 오늘과 같은 영광이 있었겠는가.” 하였다. 왕안은 결국 명제로부터 반역을 꿈꾼다는 의심을 받아 화를 당하고 말았다. <南史 卷二十四 王思遠傳>

청도[淸都] 전설 속에 나오는 천제(天帝)가 사는 궁궐을 가리킨다.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있다는 곳인데 이는 제도(帝都)를 가리킨다.

청도오운[淸都五雲] 청도(淸都)는 전설상의 천제(天帝)가 사는 궁궐로 항상 오색구름으로 덮여 있다 한다.

청독[靑犢] 후한 광무제 때 여러 반적(反賊) 중의 하나.

청동[靑童] 선인(仙人)의 심부름을 하는 사람으로, 즉 선동(仙童)과 같은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925 호어[濠魚]~호연지기[浩然之氣]~호연희연[皞然熙然]~호염읍[胡髥泣] 2102
4924 노화[爐火] ~ 노후반[魯侯泮] ~ 녹거귀[鹿車歸] 2104
4923 달수[獺髓] ~ 달유보본[獺猶報本] ~ 달인비과망[達人非果忘] 2104
4922 천룡일지[天龍一指] ~ 천루간화[濺淚看花] ~ 천리구[千里駒] 2104
4921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112
4920 청유막[靑油幕] ~ 청음경노학지시[淸音警露鶴知時] ~ 청의주[靑衣主] 2112
4919 확상포[矍相圃]~확호불발[確乎不拔]~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환결[環玦] 2112
4918 환기조[喚起鳥]~환노훈[換爐熏]~환득환실[患得患失]~환로적신[宦路積薪]~환륜[奐輪] 2114
4917 단후[短後] ~ 달권[達權] ~ 달달[怛怛] 2115
4916 탕한[湯旱]~탕확[湯鑊]~탕휴[湯休]~태갑[太甲] 2119
4915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120
4914 호위[虎闈]~호위문견[胡威問絹]~호유[胡荽]~호의[狐疑]~호의[縞衣] 212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