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92  

청라[靑螺] 부처의 머리.

청란미[靑鸞尾] 대빗자루[竹箒]를 말한다.

청랑간[靑琅玕] 낭간은 대()의 이칭. 봉황(鳳凰)이 주리면 대나무 열매를 먹고 목마르면 천지(天池)의 물을 마신다고 한다.

청랑간[靑琅玕] 푸른 산호주(珊瑚珠)를 말한다.

청려배[靑驢背] 당 나라 시인 맹호연(孟浩然)이 눈 속에 나귀를 타고 매화를 찾으며 시를 애써 지었다.

청려장[靑藜杖] 청려장은 푸른 명아주대로 만든 지팡이를 말한다.

청련[靑蓮] 청련은 당() 나라 때 시인 이백(李白)이 태어난 고향의 현명(縣名). 그래서 이백은 청련거사(靑蓮居士)라 호하였다.

청련거사적선옹[靑蓮居士謫仙翁] 이백(李白)은 촉()나라의 청련산(靑蓮山) 아래 살았으며, 장안(長安)에 왔을 때 하지장(賀知章)이 그를 만나 자네는 천상(天上)에서 잠깐 인간(人間)에 귀양살이로 온 신선이다.” 하였다.

청련궁[靑蓮宮] 불사(佛寺)의 이칭(異稱)이다.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청련(靑蓮)은 이태백(李太白)의 호이고, 금속(金粟)은 금속여래(金粟如來)의 준말로 유마힐(維摩詰)을 뜻하는데, 이태백의 시 가운데 금속여래는 바로 나의 후신일세[金粟如來是後身]”라는 구절이 있다. <李太白集 卷18 答湖州迦葉司馬問白是何人>

청련우[靑蓮宇] 사찰 건물을 말한다. 불교에서 연꽃을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청정한 꽃이라 하여 불화(佛花)로 삼기 때문에, 불교와 관련된 사물에는 보통 연꽃을 등장시켜 표현하곤 한다. 절을 연궁(蓮宮)이라 한다.

청렴결백[淸廉潔白] 마음이 맑고 바르며 깨끗하고 희다. 개인적인 이익이나 욕심에 마음이 끌리지 않고 곧고 깨끗함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5213 화용월태[花容月態]~화우[火牛]~화우[花雨]~화우지계[火牛之計]~화운[火雲] 1947
5212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1242
5211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027
5210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363
5209 화씨벽[和氏璧]~화씨양[華氏羊]~화씨지박[和氏之璞]~화씨지벽[和氏之璧] 1524
5208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270
5207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11
5206 화성[火城]~화성[化城]~화성[畫省]~화성[華省]~화성흘연[化城屹然] 1973
5205 화서국[華胥國]~화서지몽[華胥之夢]~화석[華席]~화석정[花石亭] 2343
5204 화삼변[禾三變]~화삼월[火三月]~화삽[畫翣]~화상치[畵象治]~화서[華胥] 1858
5203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2041
5202 화봉삼축[華封三祝]~화불단행[禍不單行]~화사첨족[畵蛇添足] 245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