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백분섬섬[靑白分覢覢] ~ 청백전가[淸白傳家] ~ 청빈[靑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86  

청백리[淸白吏] 청렴결백한 관리.

청백분섬섬[靑白分覢覢] 위진(魏晋) 시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 그는 좋아하는 자가 찾아가면 청안(靑眼)으로 대하고, 싫은 자가 찾아가면 백안시(白眼視)했다 한다.

청백안[靑白眼] 청안은 반가이 맞이하는 눈길이며 백안은 그의 반대로 싫어하는 눈초리. () 나라 완적(阮籍)이 상중(喪中)에 있을 적에 혜강(嵇康)의 형 혜희(嵇喜)가 조문을 오자 백안으로 대했고 혜강이 술과 거문고를 가지고 찾아오자 청안으로 대한 데서 온 것이다. <晉書 阮籍傳>

청백안[靑白眼] 호오(好惡)를 분명히 하여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가차없이 끊어 버리는 태도를 말한다. () 나라 완적(阮籍)이 반가운 이를 만나면 청안(靑眼)으로 대하고 어설픈 사람을 만나면 백안시(白眼視)했던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簡傲>

청백전가[淸白傳家] () 나라 양진(楊震)이 말하기를 내가 자손에게 재물을 주지 않는 대신 청백리(淸白吏)의 자손이란 명예를 전하여 주리라.” 하였다. 대대로 청백한 것을 청백전가(淸白傳家)라 한다.

청변[靑邊] 토란의 일종으로 크기가 병()만하다 한다. <廣志>

청부[靑蚨] 구멍 뚫린 동전(銅錢), 즉 돈을 말한다. 청부충(靑蚨蟲) 모자(母子)의 피를 동전에 발라 놓으면, 어디에 있든 서로 날아와 같은 장소로 모여든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搜神記 卷13>

청부현[靑鳧縣] 청부는 청송(靑松)의 고호(古號)이다.

청비[淸碑]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를 가리킨다. 병자호란 때 청 태종(淸太宗)이 인조(仁祖)의 항복을 받고 자신의 공덕을 자랑하기 위해 지금의 송파(松坡)에 세운 것으로, 표면 왼쪽에 몽고문(蒙古文), 오른쪽에 만주문, 뒤쪽에는 한문으로 씌어 있다.

청빈[淸貧] 마음이 깨끗하면 사리사욕(私利私慾)에 물들지 않고 자연히 다른 사람보다 생활은 가난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자신의 지조(志操)를 굽히지 않고 꼿꼿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청빈[靑蘋] 청빈은 부평초와 같은 수초(水草)인데, 송옥(宋玉)夫風生於地 起於靑蘋之末이라고 읊은 이래로 바람과 관련된 시어(詩語)로 쓰이게 되었다. <文選 風賦>

 

 



번호 제     목 조회
5213 화용월태[花容月態]~화우[火牛]~화우[花雨]~화우지계[火牛之計]~화운[火雲] 1962
5212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1256
5211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046
5210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384
5209 화씨벽[和氏璧]~화씨양[華氏羊]~화씨지박[和氏之璞]~화씨지벽[和氏之璧] 1541
5208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296
5207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31
5206 화성[火城]~화성[化城]~화성[畫省]~화성[華省]~화성흘연[化城屹然] 1983
5205 화서국[華胥國]~화서지몽[華胥之夢]~화석[華席]~화석정[花石亭] 2368
5204 화삼변[禾三變]~화삼월[火三月]~화삽[畫翣]~화상치[畵象治]~화서[華胥] 1867
5203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2063
5202 화봉삼축[華封三祝]~화불단행[禍不單行]~화사첨족[畵蛇添足] 248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