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22  

청삼[靑衫] () 나라 때 품계(品階)가 낮은 하급 문관이 입던 관복으로,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좌천된 백거이(白居易)의 고사에 연유하여, 실의에 빠진 관리를 표현할 때 보통 청삼사마(靑衫司馬)’라고 한다. 백거이(白居易)비파인(琵琶引)’에 나오는 座中泣下誰最多 江州司馬靑衫濕이라는 시구는 특히 유명하다.

청삼[靑衫] 청삼은 보통 서생(書生)을 뜻하는데, 청색 옷을 입었던 문관 8품과 9품의 관직을 가리키기도 한다.

청상[淸賞] 경치 좋은 산수(山水)를 유람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청상[靑裳] 망우초(忘憂草) 즉 원추리의 별칭이다.

청상[靑箱] 집안에 대대로 전해지는 학문을 이른다. 유송(劉宋) 때 왕준지(王准之)의 집은 대대로 강좌(江左)의 옛 일을 잘 알아서 이를 기록하여 푸른 상자[靑箱]에 넣어 두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이를 일러 왕씨(王氏)의 청상학(靑葙學)’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書 卷六十>

청상[淸商] 청상곡.

청상곡[淸商曲] 가을에 속하는 상성(商聲)의 맑고도 슬픈 노래를 말한다.

청상악[淸商樂] 고대 한족(漢族)의 민간 음악이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畫角三聲刁斗曉 淸商一部管絃秋 他時麟閣圖勳業 更合何人居上頭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7, 河陽石尙書 破迴鶻 迎貴主 過上黨 射鷺繪畫爲圖 猥蒙見示 稱歎不足 以詩美之>

청상전가[靑箱傳家] 송서(宋書) 왕준지전(王准之傳), 증조 표지(彪之) 때부터 박학한 지식과 사실(史實) 등을 푸른 궤[靑箱]에 넣어 대대로 전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왕씨 청상학(王氏靑箱學)’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청상조[淸商調] 청상은 청량(淸涼)한 가을바람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01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125
4900 대독[帶犢] ~ 대동비[大同碑] ~ 대동천[大洞天] 2126
4899 천동[天童] ~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 천려일실[千慮一失] 2128
4898 가산[假山]~가산[賈山]~가삽삼만축[架揷三萬軸] 2128
4897 혼적군주유[混迹群侏儒]~혼점[混點]~혼정신성[昏定晨省]~혼취[混吹] 2129
4896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2130
4895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2130
4894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130
4893 사천[史遷] ~ 사천[槎川] ~ 사천구이릉[史遷救李陵] 2132
4892 녹포[綠蒲] ~ 녹피옹[鹿皮翁] ~ 녹황[鹿隍] 2133
4891 토진간담[吐盡肝膽]~토찬[吐餐]~토탈[兎脫]~토포악발[吐哺握髮] 2134
4890 호시석노[楛矢石砮]~호시원[弧矢願]~호시지[弧矢志]~호시탐탐[虎視眈眈] 213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