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37  

청삼[靑衫] () 나라 때 품계(品階)가 낮은 하급 문관이 입던 관복으로, 강주사마(江州司馬)로 좌천된 백거이(白居易)의 고사에 연유하여, 실의에 빠진 관리를 표현할 때 보통 청삼사마(靑衫司馬)’라고 한다. 백거이(白居易)비파인(琵琶引)’에 나오는 座中泣下誰最多 江州司馬靑衫濕이라는 시구는 특히 유명하다.

청삼[靑衫] 청삼은 보통 서생(書生)을 뜻하는데, 청색 옷을 입었던 문관 8품과 9품의 관직을 가리키기도 한다.

청상[淸賞] 경치 좋은 산수(山水)를 유람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청상[靑裳] 망우초(忘憂草) 즉 원추리의 별칭이다.

청상[靑箱] 집안에 대대로 전해지는 학문을 이른다. 유송(劉宋) 때 왕준지(王准之)의 집은 대대로 강좌(江左)의 옛 일을 잘 알아서 이를 기록하여 푸른 상자[靑箱]에 넣어 두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이를 일러 왕씨(王氏)의 청상학(靑葙學)’이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書 卷六十>

청상[淸商] 청상곡.

청상곡[淸商曲] 가을에 속하는 상성(商聲)의 맑고도 슬픈 노래를 말한다.

청상악[淸商樂] 고대 한족(漢族)의 민간 음악이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畫角三聲刁斗曉 淸商一部管絃秋 他時麟閣圖勳業 更合何人居上頭라는 구절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7, 河陽石尙書 破迴鶻 迎貴主 過上黨 射鷺繪畫爲圖 猥蒙見示 稱歎不足 以詩美之>

청상전가[靑箱傳家] 송서(宋書) 왕준지전(王准之傳), 증조 표지(彪之) 때부터 박학한 지식과 사실(史實) 등을 푸른 궤[靑箱]에 넣어 대대로 전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왕씨 청상학(王氏靑箱學)’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청상조[淸商調] 청상은 청량(淸涼)한 가을바람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73 천령[川寧] ~ 천록조청려[天祿照靑藜] ~ 천뢰[天籟] 2181
472 천학비재[淺學菲才] ~ 천향[天香] ~ 천형[踐形] 2180
471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179
470 퇴지[退之]~퇴지금시[退之琴詩]~퇴지산석구[退之山石句]~ 2178
469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77
468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176
467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172
466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70
465 비비[悱悱] ~ 비비낙설[霏霏落屑] ~ 비비유지[比比有之] 2169
464 부마[駙馬] ~ 부미금[付美錦] ~ 부민가[阜民歌] 2168
463 채익[彩鷁] ~ 채주소역[蔡疇邵易] ~ 채중랑[蔡中郞] 2165
462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 무릉선촌[武陵仙村]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2163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