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80  

청전[靑錢] () 나라 장천(張薦)의 조부 장작(張鷟)은 재주가 뛰어나 여러 차례 과거에 모두 갑과(甲科)로 뽑히니 원외랑(員外郞) 원반천(員半千)은 자주 공경(公卿)들에게 장작의 문장은 마치 청동전(靑銅錢)과 같아 만번 시험보면 만번 합격한다.”고 하니, 사람들은 그를 청전 학사(靑錢學士)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 것이다. <新唐書 張薦傳>

청전[靑田] 산 이름인데 밭에서 청지(靑芝)가 나고 학의 서식처(棲息處)라 한다. 태평어람(太平御覽) 영가군기(永嘉郡記)목계(沐溪)의 들 청전(靑田)에 백학(白鶴) 한 쌍이 살았는데 매년 새끼를 쳐서 키워 떠나 보내고 어미 한 쌍만 그대로 남아서 살았다. 정갈하고 흰 빛이 사랑스러웠다.”라고 하였다.

청전[靑氈] 청전구물(靑氈舊物)의 준말로, 벼슬살이하던 집안의 구업(舊業)이나 유물을 말한다. () 나라 왕헌지(王獻之)의 집에 도둑 떼가 들어 몽땅 털어가려 하자, 왕헌지가 침상에 그대로 누워 있다가 푸른 담요는 우리 집안의 옛 물건이니 남겨 두지 않겠는가.[靑氈是我家舊物 可特置否]”라고 하자, 도둑들이 놀라 도망쳤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청빈한 선비의 집안에 대대로 전해오는 변변찮은 재물을 가리킨다. <晉書 王獻之傳>

청전[靑錢] 청전은 곧 청동전(靑銅錢)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전[靑氈] 청전은 푸른색의 담요인데, 벼슬하는 집안에서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물건이란 말로, 대대로 벼슬자리를 잃지 않았다는 뜻이다. 태평어람(太平御覽) 70권에 왕자경(王子敬)이 재실(齋室) 안에 누워 있을 적에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쳤는데, 온 방 안의 물건을 다 훔치도록 자경은 누운 채로 가만히 있다가 도둑이 탑() 위로 올라가서 훔칠 물건을 찾으려고 하자 왕자경이 소리를 치면서 말하기를, ‘석염(石染)과 청전(靑氈)은 우리 집안에 대대로 전해져 오는 물건이니 특별히 놔둘 수 없겠는가?’ 하였다. 이에 도둑이 물건을 놓아둔 채 도망쳤다.” 하였다.

청전[靑田] 학이 나는 고장의 이름이다. 초학기(初學記) 30권에 수목계(洙沐溪)가 있는데, 청전(靑田)에서의 거리가 9리이다. 이 가운데 백학(白鶴) 한 쌍이 살면서 해마다 새끼를 낳는데, 새끼들은 다 자라면 모두 떠나가고 오직 어미백학 한 쌍만 남아 있을 뿐이다. 그 색깔이 아주 희어서 사랑스러운바, 이는 신선이 기르는 학이라고 한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901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272
4900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16
4899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19
4898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81
4897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2020
4896 청유막[靑油幕] ~ 청음경노학지시[淸音警露鶴知時] ~ 청의주[靑衣主] 2093
4895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077
4894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07
4893 청열석[淸裂石] ~ 청영계남월[請纓繫南越] ~ 청오술[靑烏術] 1926
48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37
4891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220
4890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066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