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곡[焦穀] ~ 초관우철선[貂冠又綴蟬] ~ 초교서[焦校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46  

초곡[焦穀] 탄 곡식[焦穀]은 싹이 날 수 없다. <妙法蓮華經>

초공[梢工] 뱃사공.

초관[貂冠] 초관은 옛날 시중(侍中)이나 상시(常侍)가 쓰던 관이다.

초관[楚冠] 초관은 초 나라 사람의 관. 초 나라의 굴원이 조정에서 쫓겨나 변방에서 귀양살이했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변방에서 쓸쓸하게 지내는 것을 뜻한다.

초관우철선[貂冠又綴蟬] 초관(貂冠) 고관(高官)들만이 쓸 수 있는 것인데, 거기에 또 매미 날개같이 고운 갓끈은 또 좀 높아야 쓸 수 있는 것이다.

초광[楚狂] 춘추 시대 초() 나라의 은자(隱者)인 접여(接輿)를 가리킨 말로, 전하여 은거하는 사람을 뜻한다. <論語 微子>

초광성[招廣成] 공동산(崆峒山)에 광성자(廣成子)라는 선인(仙人)이 있는데 황제(黃帝)가 가서 도()를 물었다.

초교서[焦校書] 초교서는 당() 나라 두보(杜甫)와 동시의 사람으로 교서랑(校書郞)이었던 초씨(焦氏)를 이르는데, 그의 이름을 알 수 없다. 두보의 희증우시(戲贈友詩)보응(寶應) 원년 월건 사월에 초 교서랑이란 이가 있어 스스로 자랑하길 완력이 넘쳐서 길 안든 망아지도 탈 수 있다 하더니 어느 날 갑자기 말에게 밟히어 입술 찢기고 앞니가 다 빠졌는데 그래도 장심은 수그러들지 않아서 동쪽으로 되놈을 잡으려 한다오.[元年建巳月 郞有焦校書 自誇足膂力 能騎生馬駒 一朝被馬踏 脣裂板齒無 壯心不肯已 欲得東擒胡]”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詩集 卷十一>

 

 



번호 제     목 조회
401 서판[書判] ~ 서포[漵浦] ~ 서풍오인[西風汚人] 2064
400 호사다마[好事多魔]~호사수구[狐死首丘]~호사유피[虎死留皮]~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 2063
399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2063
398 황녕[黃寧]~황당[黃堂]~황대[璜臺]~황대과[黃臺瓜]~황대권만[黃臺捲蔓] 2060
397 부운[浮雲] ~ 부원손숙오[不願孫叔敖] ~ 부월[鈇鉞] 2059
396 토홍예[吐虹蜺]~토화[土花]~톤톤[啍啍]~통가[通家]~통관규천[通管窺天] 2056
395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2052
394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48
393 황간[黃幹]~황감동정[黃柑洞庭]~황강[黃崗]~황강고사[黃崗故事] 2048
392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046
391 청사[靑詞] ~ 청사기사허[靑蛇氣射虛] ~ 청살[靑殺] 2045
390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2044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