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당남수[草堂柟樹] ~ 초당수문단장인[草堂誰問斷腸人] ~ 초당시성[草堂詩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832  

초당남수[草堂柟樹] () 나라 두보(杜甫)의 초당 앞에 서 있는 남수(枏樹)가 풍우(風雨)로 인해 뽑힌 것을 말한다. 두보의 남목위풍우소발탄(枏木爲風雨所拔歎)강에 기대어라 초당 앞의 남수……너를 보려고 여기 와서 살았는데……회오리바람 거세게 불어라, 파도 일고 돌이 구르며 구름은 뭉게뭉게. 줄기는 뇌우를 버티려 안간힘을 쓰지만, 뿌리엔 천원이 말라라 어찌 하늘 뜻이랴.[倚江枏樹草堂前……誅茅卜居總爲此……東南飄風動地至 江翻石走流雲氣 榦排雷雨猶力爭 根斷泉源豈天意]” 하였다.

초당사걸[初唐四傑] 왕발(王勃양형(楊炯노조린(盧照隣낙빈왕(駱賓王)이다.

초당수문단장인[草堂誰問斷腸人] () 나라 고적(高適)이 두보(杜甫)에게 보낸 인일기두이습유(人日寄杜二拾遺)’라는 시 첫머리에 인일에 시를 지어 초당에 부치다니, 벗이 고향 생각함을 멀리서 애달피 여김이라.[人日題詩寄草堂 遙憐故人思故鄕]”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23 追酬政故蜀州人日見寄 附錄>

초당시[草堂詩] 초당(草堂)은 당()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별칭이다. 두보의 시 춘야희우(春夜喜雨)미풍 따라 가만히 밤중에 내리니, 소리 없이 대지를 촉촉히 적시누나.[隨風潛入夜 潤物細無聲]”라고 하였다.

초당시성[草堂詩聖] 시성(詩聖)은 시의 성()이라는 말로 이백(李白)을 가리킨다.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에 이백의 시집을 초당집(草堂集)이라 하였고, 주자(朱子)白詩聖於詩者也라고 하였다.

초당편[草堂篇] 고적(高適)이 두보(杜甫)에게 보낸 인일기두이습유(人日寄杜二拾遺)’의 시를 가리키는데, 그 첫 구절이 人日題詩寄草堂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초당편이라고 한 것이다. 이 시는 고상시집(高常侍集) 5와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23 부록(附錄)에 실려 있으며, 고문진보(古文眞寶) 전집(前集) 5에도 소개되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33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293
532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293
531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293
530 홍홍[泓泓]~홍화[弘化]~화각[畫角]~화간[禾竿]~화간[花間] 2292
529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290
528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290
527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2285
526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284
525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281
524 철삭은구[鐵索銀鉤] ~ 철석간장[鐵石肝腸] ~ 철숙음수[啜菽飮水] 2279
523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278
522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276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