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동[焦桐] ~ 초동급부[樵童汲婦] ~ 초량주[招涼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24  

초동[焦桐] () 나라 채옹(蔡邕)이 오동나무가 아궁에서 불타는 소리를 듣고 그것이 좋은 오동나무로서 거문고를 만들기에 적당한 줄을 알고 곧 꺼내어 타다 남은 것으로 거문고를 만들었다.

초동급부[樵童汲婦] 나무베는 소년과 물긷는 아낙네. 곧 보통 서민을 이르는 말이다.

초동급부[樵童汲婦]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 , 보통 사람. 갑남을녀(甲男乙女). 선남선녀(善男善女). 장삼이사(張三李四). 필부필부(匹夫匹婦).

초두[焦頭] 초두는 불을 끄다가 머리를 태운 것을 말한다.

초두난액[焦頭瀾額] 남의 불을 끄다가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데면서도 자기 몸은 돌보지 않는다는 말이다.

초란[楚蘭] () 나라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중에 많이 나오는 고결한 난초라는 뜻이다.

초란전[椒蘭殿] 후비(后妃)의 궁전을 말한다.

초란향[楚蘭香] 초란은 곧 초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택반(澤畔)을 방황하면서 난초를 캐어 허리에 찼다는 데서 온 말이다.

초량주[招涼珠] 서늘함을 부르는 구슬이란 뜻으로, () 나라 소왕(昭王)이 항산(恒山)에서 나온 구슬을 가지고 있었는데, 무더울 때 이 구슬을 가슴속에 품고 있으면 몸이 저절로 시원해졌다고 한다. <拾遺記 燕昭王>

 

 



번호 제     목 조회
4865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066
4864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068
4863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070
4862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070
4861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070
4860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073
4859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077
4858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080
4857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080
4856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081
4855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083
4854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08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