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명[蟭螟] ~ 초목고[草木枯] ~ 초목충어학[草木虫魚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566  

초명[蕉明] 서역 지역의 새.

초명[蟭螟] 지극히 작은 전설상의 곤충 이름이다. 무리를 지어 모기 눈썹 사이에 집을 짓고 사는데, 들락날락해도 너무나 작아서 모기가 눈치를 채지 못한다고 한다. <列子 湯問>

초명살적문소상[蟭螟殺敵蚊巢上] 아주 미세한 것을 비유한 것으로, 초명(蟭螟)이란 벌레는 하도 작아서 모기의 속눈썹에 집을 짓고 사는데도 모기는 그것을 모른다고 한다. <列子 湯問>

초목고[草木枯] () 나라 때 미산(眉山)에서 소순(蘇洵) 및 그의 두 아들인 소식(蘇軾소철(蘇轍)까지 삼부자(三父子)의 대문장가들이 나오자, 당시 미산 사람들의 말에 미산이 삼소를 탄생시키니, 초목이 모두 말라 버렸다.[眉山生三蘇 草木盡皆枯]”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초목고[草木枯] 훌륭한 인물이 탄생하면 그 지역의 초목이 마른다는 뜻에서, 동도사략(東都事略)미산(眉山)에서 삼소(三蘇)가 나니, 초목들이 모두 다 말라졌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초목변쇠상초객[草木變衰傷楚客] 전국 시대 초()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을 가리킨다. 송옥의 구변(九辯) 첫머리에 悲哉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유명한 구절이 나온다.

초목요락[草木搖落] 초사(楚辭) 구변(九辯) 첫머리에 슬프다, 가을 기운이여. 싸늘한 바람 불어옴에, 초목 우수수 떨어지고 모습 쇠하게 바뀌었네.[悲哉 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유명한 구절이 나온다.

초목지명[草木知名] () 나라 장만복(張萬福)이 강회(江淮) 지역을 잘 다스려 초목까지 위명(威名)을 알고 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唐書 卷一百七十 張萬福傳>

초목충어학[草木虫魚學] 시경(詩經)은 초목·조수(鳥獸충어 등 많은 물명(物名)이 나오므로 한 말이다. 이 때문에 오()의 육 기(陸璣)는 모시초목조수충어소(毛詩草木鳥獸蟲魚疏)를 지었으니 이는 논어(論語) 양화(陽貨)시를 배우면 초목 금수의 물명을 많이 알게 된다.” 한 공자의 말에서 나온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3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292
532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290
531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289
530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289
529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289
528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2285
527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284
526 홍홍[泓泓]~홍화[弘化]~화각[畫角]~화간[禾竿]~화간[花間] 2282
525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280
524 철삭은구[鐵索銀鉤] ~ 철석간장[鐵石肝腸] ~ 철숙음수[啜菽飮水] 2279
523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275
522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275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