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99  

초백거흔흔[髫白擧欣欣] 치자(治者)가 피치자(被治者)와 고락(苦樂)을 함께 하면 백성들이 모두 나와서 치자의 기쁨을 함께 나누며 서로 이야기를 할 것[擧欣欣然有喜色而相告]이라는 말이 맹자(孟子) 양혜왕 하(梁惠王下)에 나온다.

초백주[椒柏酒] 음력 정월 초하루에 마시는 축하 술. 설날에 선조에게 제사를 드리고 가장(家長)에게 올려 축수(祝壽)하는 술이다.

초벽도[楚璧盜] 전국 시대 장의(張儀)가 초() 나라에 유세하며 정승과 술을 마셨는데, 정승의 옥돌이 없어지자 장의를 의심하여 붙잡아두고 수백 대나 매질을 하다가 풀어 준 고사가 있다. <史記 卷70>

초복[初服] 벼슬하기 이전의 복장으로, 즉 벼슬자리에서 물러나오는 것을 뜻한다. 초사(楚辭) 이소경(離騷經)나아가도 들어가지 못한 채 허물만 입게 되었으니, 물러가 다시 나의 초복을 손질하리.[進不入以離尤兮 退將復修吾初服]”에서 나온 것으로, 관직을 버리고 벼슬길에 들어가기 전에 입었던 옷을 다시 입기를 원하는 마음을 말한다.

초복[初服] 초복은 초사(楚辭) 이소경(離騷經)물러나 장차 다시 나의 초복을 손보리라[退將復修吾初服].”에서 나온 것으로 처음에 입던 의복인데, 일반적으로 벼슬을 그만두어 관복을 벗고 당초에 입었던 옷을 다시 입는 것을 말한다. 곧 초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초복[楚服] 성복(盛服)을 가리킨다. 엄숙하게 차린 의복.

초복록[蕉覆鹿] 인생사의 무상함을 표현한 말. 옛날 어떤 사람이 나무를 하다가 우연히 사슴을 잡아 남 몰래 파초 잎새로 덮어 놓았었다. 나무를 다하고 사슴을 찾았으나 장소를 잊어버렸다. 그는 사슴을 잡았던 것이 꿈이려니 생각하고서 그 사실을 되뇌며 돌아왔다. 마침 어떤 사람이 그 말을 듣고는 산으로 들어가 사슴을 찾아 가져와 자기 아내에게 나무꾼의 꿈을 자기가 꾸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고 말하였다 한다. <列子 周穆王>


 



번호 제     목 조회
377 천룡일지[天龍一指] ~ 천루간화[濺淚看花] ~ 천리구[千里駒] 1722
376 초자불성무협몽[楚子不成巫峽夢]~ 초장록[蕉藏鹿] ~ 초재진용[楚材晉用] 1722
375 형애제공[兄愛弟恭]~형양[滎陽]~형양금[荊楊金]~형양묵흔[滎陽墨痕]~형양안[衡陽雁] 1721
374 천애부초리[天涯賦楚蘺] ~ 천앵도[薦櫻桃] ~ 천열류파세열인[川閱流波世閱人] 1718
373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1717
372 청춘치오마[靑春馳五馬] ~ 청출어람[靑出於藍] ~ 청태부[靑苔賦] 1716
371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1714
370 청죽게[靑竹偈] ~ 청진[淸塵] ~ 청징[淸澄] 1713
369 천작[天爵] ~ 천장각[天章閣] ~ 천장급제[天場及第] 1710
368 화창[華倉]~화처[花妻]~화청지[華淸池]~화총[花驄]~화축[華祝] 1710
367 화성[火城]~화성[化城]~화성[畫省]~화성[華省]~화성흘연[化城屹然] 1709
366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1707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