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부족[貂不足] ~ 초사청풍[楚些靑楓] ~ 초산[楚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53  

초부족[貂不足] () 나라 때 조왕윤(趙王倫)의 당()이 모두 경상(卿相)이 되어 그 노졸(奴卒)들까지 작위를 받음으로써, 시중(侍中중상시(中常侍) 등의 관() 장식으로 쓰는 담비꼬리가 부족하여 개꼬리로 대신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초사[楚詞] 굴원과 송옥(宋玉)은 초 나라 사람이므로, 그들의 작품인 사부(詞賦)를 초사(楚詞)라 한다.

초사[楚些] 넋을 부른다는 의미를 지닌 노래인 초사(楚辭)의 초혼(招魂)은 초() 나라 민간의 초혼가(招魂歌) 형식을 본떠서 지은 것이어서 구절 끝에 사() 자가 있는데, 이로 인해 초사(楚些)라 명명한 것이다. 혼은 본디 죽은 자의 혼을 말하지만, 초사의 초혼은 송옥(宋玉)이 죄 없이 쫓겨난 굴원(屈原)이 정신이 산란한 채 돌아오지 않는 것을 슬퍼하여 상제(上帝)의 명과 무당의 말을 가탁하여 그 정신을 부른 것이라고 한다.

초사[醮詞] 승원(僧院)에서 단()을 모으고 기도할 때 쓰는 말이다.

초사청풍[楚些靑楓] 초사(楚詞) 초혼(招魂)강물은 넘실넘실 강 언덕엔 신나무 있는데, 저 멀리 바라보니 봄마저 가슴 아파[湛湛江水兮上有楓 目極千里兮傷春心]”를 인용한 말이다. ()는 조사(助詞)이다.

초산[焦山] 강소성(江蘇省) 단도현(丹徒縣) 동쪽에 있는 산으로 일명 부옥산(浮玉山)이라고도 하는데, 삼국(三國) 때의 고사(高士) 초선(焦先)이 이 산에 은둔하였기 때문에 초산이라 했으며 초선은 천하가 생긴 이래 1인자라 하여 일초(一焦)라 불렀다.

초산[楚山]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나 실의에 잠겼던 초() 나라의 산야라는 뜻이다.

초산[楚山] 정읍(井邑)의 옛 이름이다.

초산집[椒山集] 명 나라 양계성(楊繼盛)의 문집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5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070
484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070
483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070
482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068
481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066
480 부마[駙馬] ~ 부미금[付美錦] ~ 부민가[阜民歌] 2064
479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063
478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061
477 채익[彩鷁] ~ 채주소역[蔡疇邵易] ~ 채중랑[蔡中郞] 2058
476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058
475 천령[川寧] ~ 천록조청려[天祿照靑藜] ~ 천뢰[天籟] 2058
474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058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