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신비[楚臣悲] ~ 초신음택반[楚臣吟澤畔] ~ 초심일촌보춘휘[草心一寸報春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44  

초신[楚臣] 본디 초 나라 신하 굴원으로, 귀양살이하는 신하를 말한다.

초신비[楚臣悲] 고향을 떠난 나그네의 슬픔을 말한다. 초신은 비방을 당해 초() 지방으로 유배되어 객지를 떠돌았던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초신음택반[楚臣吟澤畔] 전국(戰國) 시대 초() 나라 충신(忠臣) 굴원(屈原)이 회왕(懷王)으로부터 방척(放斥)을 받은 후 못가[澤畔]에 행음(行吟)하던 일을 말한다.

초신초췌[楚臣憔悴] 초 나라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굴원의 어부사(漁父辭)굴원이 쫓겨나 강가에 노닐어 못가를 거닐면서 시를 읊조림에 안색이 초췌하고 형용에 생기가 없었다.” 하였다.

초신패[楚臣佩] 굴원(屈源)이 지은 이소(離騷)가을 난초를 길러서 패()를 한다.”는 구절이 있다.

초실[椒室] 궁중(宮中)의 내실(內室)을 말한다. ()는 열매가 많이 열고 향기가 성하므로 자손의 번성을 축원하여 그 열매를 섞어 궁중 내실의 벽을 발랐다.

초심일촌보춘휘[草心一寸報春暉]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을 말한 것이다. 초심(草心)은 촌초심(寸草心)의 준말로 조그마한 마음을 뜻하는데, 효자가 부모를 사모하는 정을 말하며, 춘휘(春暉)는 봄의 햇빛으로 부모의 은덕을 말한다. 맹교(孟郊)遊子吟(유자음)어떻게 촌초(寸草)의 마음을 가져다가 삼춘의 따뜻한 햇빛을 보답할거나.[那將寸草心 報得三春暉]”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913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107
4912 투할[投轄]~투핵[投劾]~투호[投壺]~특달규장[特達圭璋] 2108
4911 호위[虎闈]~호위문견[胡威問絹]~호유[胡荽]~호의[狐疑]~호의[縞衣] 2109
4910 부귀김장[富貴羨金張] ~ 부귀화[富貴花] ~ 부금[覆錦] 2112
4909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16
4908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116
4907 황강유편[黃崗遺篇]~황강적[黃岡跡]~황견묘[黃絹妙] ~황견유부[黃絹幼婦] 2118
4906 천교목[遷喬木] ~ 천교쇄경핵[遷喬刷勁翮] ~ 천구영독윤[天球暎櫝潤] 2124
4905 청죽게[靑竹偈] ~ 청진[淸塵] ~ 청징[淸澄] 2124
4904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26
4903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2129
4902 대독[帶犢] ~ 대동비[大同碑] ~ 대동천[大洞天] 213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