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지[草池] ~ 초지족[鷦枝足] ~ 초차신의[草次新儀] ~ 초초[悄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020  

초지[草池] ‘지당생춘초(池塘生春草)’를 요약한 말로, 멋진 시구(詩句)를 뜻한다. 남조 송()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이 종일토록 시 한 편을 완성하지 못하다가, 꿈속에서 족제(族弟) 사혜련(謝惠連)을 만나 보고는 곧바로 지당생춘초라는 명구(名句)를 떠올리게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南史 卷19 謝惠連傳>

초지[初地] 불교의 용어임. 십지(十地)의 제일지(第一地)로서 환희지(歡喜地)를 가리킨다.

초지불변[初志不變] 처음의 뜻이 변치 않음을 이른다.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 품은 뜻을 한결같이 관철(貫徹). 처음의 뜻 하나로 끝까지 꿰뚫음. 처음 품은 뜻을 한결같이 밀고 나아감.

초지족[鷦枝足]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뱁새는 깊은 숲에 둥지를 치는데 나뭇가지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에서 나온 것으로, 자기의 분수에 만족하는 것을 뜻한다.

초차신의[草次新儀] 조선 인조가 친히 땅바닥에 내려가 청 태종에게 절하고 항복한 일을 가리킨 말이다.

초창[怊悵] 믿지 못하여 슬퍼함을 이른다.

초창[草創] 초창은 초고(草稿)를 쓰는 것을 이른다.

초초[慅慅] 지친 모양, 근심스러운 모양.

초초[杪杪] 가늘고 작은 모양.

초초[梢梢] 나무 끝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 조금, 꼬리가 처진 모양, 나무의 잎이나 곁가지가 없이 쭉 뻗어난 모양, 나무들의 우듬지.

초초[僬僬] 달음박질하여 체통을 갖추지 못하는 모양, 밝게 살피는 모양.

초초[哨哨] 말이 많은 모양, 작은 소리의 형용.

초초[迢迢] 멀고 아득한 모양.

초초[楚楚] 산뜻한 모양, 가시덤불이 우거진 모양, 고통하는 모양.

초초[噍噍] 새의 지저귀는 소리.

초초[招招] 손을 들고 부르는 모양.

초초[悄悄] 풀이 죽어 근심하는 모양, 고요한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4937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086
4936 반여[潘輿] ~ 반연연산명[班掾燕山銘] ~ 반용세[攀龍勢] 2088
4935 토각귀모[兎角龜毛]~토간[免肝]~토구[菟裘]~토규연맥[兎葵燕麥] 2090
4934 황류[黃流]~황릉묘[黃陵廟]~황리몽[隍裏夢]~황마[黃馬]~황마[黃麻] 2090
4933 청리첩[靑李帖]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 청몽승저[淸夢乘軧] 2092
4932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093
4931 아손유홀역만상[兒孫有笏亦滿床] ~ 아수라장[阿修羅場] ~ 아시[衙時] 2094
4930 청루몽[靑鏤夢] ~ 청륙[靑陸] ~ 청릉피[靑綾被] 2094
4929 청천[晴川] ~ 청천백일[靑天白日] ~ 청철자삼[靑鐵紫蔘] 2094
4928 만규명[萬竅鳴] ~ 만규엽[萬圭葉] ~ 만규호[萬竅號] 2095
4927 호홀[毫忽]~호화[狐火]~호화첨춘[護花添春]~호후[虎吼]~혹도[惑道]~혹리[酷吏] 2095
4926 천룡일지[天龍一指] ~ 천루간화[濺淚看花] ~ 천리구[千里駒] 2097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