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현객[草玄客] ~ 초현축대[招賢築臺] ~ 초혼초미귀[楚魂招未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53  

초현[草玄] 태현경(太玄經)을 초한다. ()의 양웅(揚雄)이 역()을 본떠서 태현경을 지었음.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양웅(揚雄)이 바야흐로 태현경을 초하면서 스스로 몸 갖기를 깨끗이 하였다.” 한 말이 있다.

초현객[草玄客] ‘초현(草玄)하는 사람은 곧 한() 나라 양웅(揚雄)을 가리킨다. 양웅이 벼슬에 나가지 않고 조용히 들어앉아 태현경(太玄經)을 초했다는 말로, 조용히 앉아 문필(文筆)에나 종사하고 있는 사람에 비유한 말이다.

초현자[草玄子] ()나라의 양웅(揚雄)이 큰 학문과 문장이면서 적막하게 들어앉아서 태현(太玄)이라는 글을 저술하였다.

초현축대[招賢築臺] () 나라가 제() 나라에게 패한 뒤 소왕(昭王)이 즉위해서 자신을 낮추고 후한 폐백을 갖추어 어진 자를 초빙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곽외(郭隗)를 위해 누대를 개축하고 스승으로 섬겼다. 그러자 악의(樂毅)가 위() 나라에서 오고, 추연(鄒衍)이 제() 나라에서 오고, 극신(劇辛)이 조() 나라에서 오는 등 선비들이 다투어 왔다. <史記 卷34 燕召公世家>

초혜[楚惠] 친한 벗 둘이 서로 만난 자리를 뜻한다. ()는 곧 초 나라 사람인 장자(莊子)를 가리키고, ()는 바로 장자의 친구인 혜자(惠子)를 가리킨 것이다.

초혼[招魂] 초혼은 송옥(宋玉)이 지은 것이다. 옛날에 사람이 죽으면 사람을 시켜서 지붕 위로 올라가서 북쪽을 향해 서서 皐 某復이라고 외치고 죽은 사람의 옷으로 세 번 외치고 내려와서 그 옷을 시체에 덮는다. 이 예()를 복()이라 하고 해설하는 사람들은 초혼(招魂)복혼(復魂)이라 하며 사랑의 도()를 다하고 도사(禱祠)의 일을 다했다고 여기는데, 아마도 그 다시 살기를 바라는 것인 것 같다. 이같이 했는데도 살지 않는다면 다시 소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장례를 치룬다.

초혼부[招魂賦] 초혼은 산 사람의 넋을 부르는 것을 이름. 전국 시대에 송옥(宋玉)이 초() 나라 충신 굴원(屈原)의 정상을 가련하게 여겨, 근심걱정에 의해 곧 없어져 가는 굴원의 넋을 회복시켜서 그를 오래 살도록 하고자 초혼부를 지은 데서 온 말이다.

초혼초미귀[楚魂招未歸] 이미 죽어서 어찌할 수 없음을 비유한 말. 초혼은 곧 초 나라 충신 굴원(屈原)의 넋을 말하는데, 송옥(宋玉)이 굴원의 죽음을 불쌍히 여겨 그의 넋을 부르는 의미로 초혼(招魂)의 글을 지은 데서 온 말이다. <楚辭 招魂>

 

 



번호 제     목 조회
413 청천[晴川] ~ 청천백일[靑天白日] ~ 청철자삼[靑鐵紫蔘] 2086
412 청리첩[靑李帖]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 청몽승저[淸夢乘軧] 2083
411 토각귀모[兎角龜毛]~토간[免肝]~토구[菟裘]~토규연맥[兎葵燕麥] 2083
410 황류[黃流]~황릉묘[黃陵廟]~황리몽[隍裏夢]~황마[黃馬]~황마[黃麻] 2082
409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081
408 탁연[卓然] ~ 탁영[濯纓] ~ 탁영가[濯纓歌] ~ 탁오[卓午] 2081
407 형등[螢燈]~형림[蘅林]~형만[荊蠻]~형모[衡茅]~형문[衡門] 2080
406 형산[荊山]~형산왕[衡山王]~형산읍옥[衡山泣玉]~형상[荊桑]~형색[陘塞] 2080
405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075
404 화극[畫戟]~화금[火金]~화누역경[火耨力耕] 2068
403 탕병객[湯餠客]~탕우[湯憂]~탕탕[蕩蕩]~탕파자[湯婆子] 2066
402 서판[書判] ~ 서포[漵浦] ~ 서풍오인[西風汚人] 2064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