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촉각[燭刻] ~ 촉견폐일[蜀犬吠日] ~ 촉노[燭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89  

[] 당부하다. 부탁의 말을 하다.

[] 지금의 사천성 성도(成都) 일대를 말한다.

촉각[燭刻] 과시를 급하게 서둘러 보이던 일. 과거는 통상적으로 사방에 알려서 많은 선비들을 모이게 하는 것인데, 그렇지 않고 오직 표전(表箋) 두어 가지만을 가지고 시일(時日)을 한정, 실시하는 것을 촉각이라 한다. 이 제도는 특히 조선조 연산군, 중종 때에 성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촉견폐일[蜀犬吠日] ()나라의 개는 해를 흔히 볼 수 없기 때문에 해만 보면 짖는다. 식견이 좁은 사람이 선하고 어진 사람을 오히려 비난하고 의심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촉군민가고[蜀郡民歌袴] 지방 수령(守令)이 선정(善政)을 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염범(廉范)이 촉군 태수(蜀郡太守)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염숙도(廉叔度), 왜 이제야 왔소. 전에는 저고리 하나도 없다가 이제는 바지가 다섯 벌이나 된다오.” 하고 그의 선정을 노래하였다. <後漢書 卷三十一 廉范傳>

촉규화시[蜀葵花詩] 접시꽃을 두고 읊은 시. () 나라 시인 잠참(岑參)의 촉규화가(蜀葵花歌)가 있다. 그 전시는 昨日一花開 今日一花開 今日花正好 昨日花已老 人生不得恒少年 莫惜牀頭沽酒錢 請君有錢向酒家 君不見蜀葵花이다.

촉금[蜀錦] 촉 나라의 비단이란 뜻으로, 촉 나라는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인데 옛날부터 그곳에 좋은 비단이 많이 나므로 이 말이 있게 되었다. <蜀錦譜>

촉노[燭奴] 유사(遺事)신왕(申王)도 사치를 힘썼으니 그때의 유행이 그러하였다. 매일 밤 궁중에서 제왕(諸王)귀척(貴戚)들과 모여 잔치할 적에는 용단목(龍檀木)으로 동자(童子)를 조각하여 녹의(綠衣)를 입히고 띠까지 띠게 한 다음 화촉(畫燭)을 들려서 좌우에 벌여 세워 놓고 이름을 촉노(燭奴)라 했으므로 제궁(諸宮)귀척들의 집에서도 다 이를 본받았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829 창망귀[悵忘歸] ~ 창방[唱榜] ~ 창승조[蒼蠅弔] 2252
4828 척촌지효[尺寸知效] ~ 척확신[尺蠖伸] ~ 천가수[天假手] 2255
4827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258
4826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2259
4825 천불란[天拂亂] ~ 천붕지통[天崩之痛] ~ 천산괘궁[天山掛弓] 2259
4824 발천진[發天眞] ~ 발하[拔河] ~ 발해군[勃海郡] 2263
4823 유로[兪盧] ~ 유로수반계[有路須攀桂] ~ 유룡[猶龍] 2263
4822 아부견와[亞夫堅臥] ~ 아부영[亞夫營] ~ 아불멸[我不滅] 2264
4821 철삭은구[鐵索銀鉤] ~ 철석간장[鐵石肝腸] ~ 철숙음수[啜菽飮水] 2267
4820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273
4819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273
4818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275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