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촉각[燭刻] ~ 촉견폐일[蜀犬吠日] ~ 촉노[燭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40  

[] 당부하다. 부탁의 말을 하다.

[] 지금의 사천성 성도(成都) 일대를 말한다.

촉각[燭刻] 과시를 급하게 서둘러 보이던 일. 과거는 통상적으로 사방에 알려서 많은 선비들을 모이게 하는 것인데, 그렇지 않고 오직 표전(表箋) 두어 가지만을 가지고 시일(時日)을 한정, 실시하는 것을 촉각이라 한다. 이 제도는 특히 조선조 연산군, 중종 때에 성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촉견폐일[蜀犬吠日] ()나라의 개는 해를 흔히 볼 수 없기 때문에 해만 보면 짖는다. 식견이 좁은 사람이 선하고 어진 사람을 오히려 비난하고 의심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촉군민가고[蜀郡民歌袴] 지방 수령(守令)이 선정(善政)을 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염범(廉范)이 촉군 태수(蜀郡太守)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염숙도(廉叔度), 왜 이제야 왔소. 전에는 저고리 하나도 없다가 이제는 바지가 다섯 벌이나 된다오.” 하고 그의 선정을 노래하였다. <後漢書 卷三十一 廉范傳>

촉규화시[蜀葵花詩] 접시꽃을 두고 읊은 시. () 나라 시인 잠참(岑參)의 촉규화가(蜀葵花歌)가 있다. 그 전시는 昨日一花開 今日一花開 今日花正好 昨日花已老 人生不得恒少年 莫惜牀頭沽酒錢 請君有錢向酒家 君不見蜀葵花이다.

촉금[蜀錦] 촉 나라의 비단이란 뜻으로, 촉 나라는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인데 옛날부터 그곳에 좋은 비단이 많이 나므로 이 말이 있게 되었다. <蜀錦譜>

촉노[燭奴] 유사(遺事)신왕(申王)도 사치를 힘썼으니 그때의 유행이 그러하였다. 매일 밤 궁중에서 제왕(諸王)귀척(貴戚)들과 모여 잔치할 적에는 용단목(龍檀木)으로 동자(童子)를 조각하여 녹의(綠衣)를 입히고 띠까지 띠게 한 다음 화촉(畫燭)을 들려서 좌우에 벌여 세워 놓고 이름을 촉노(燭奴)라 했으므로 제궁(諸宮)귀척들의 집에서도 다 이를 본받았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1 의금사귀[衣錦思歸] ~ 의금상경[衣錦尙絅] ~ 의기[欹器] 2161
460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157
459 토진간담[吐盡肝膽]~토찬[吐餐]~토탈[兎脫]~토포악발[吐哺握髮] 2157
458 호시석노[楛矢石砮]~호시원[弧矢願]~호시지[弧矢志]~호시탐탐[虎視眈眈] 2156
457 천리보불식[天理報不食] ~ 천리족[千里足] ~ 천마구[天馬駒] 2155
456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152
455 수서[首鼠] ~ 수서양단[首鼠兩端] ~ 수석침류[漱石枕流] 2151
454 대사명[大司命] ~ 대삼[待三] ~ 대성[戴星] 2149
453 환목어[還目魚]~환백[歡伯]~환부작신[換腐作新]~환비[桓碑]~환선원[紈扇怨] 2149
452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2147
451 청문[靑門] ~ 청문과지[靑門瓜地] ~ 청문학고후[靑門學故侯] 2147
450 혼적군주유[混迹群侏儒]~혼점[混點]~혼정신성[昏定晨省]~혼취[混吹] 2147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