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촉당귀[蜀當歸] ~ 촉도매복[蜀都賣卜] ~ 촉도행장[蜀道行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439  

촉당귀[蜀當歸] 난리가 났다는 급보를 듣고 양국충은 먼저 현종에게 권고하여 촉()으로 피난하자고 하였다.

촉도[蜀道] 파촉(巴蜀)의 잔도(棧道).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촉() 땅으로 통하는 고갯길인데, 길이 몹시 험하여서 험한 길의 대명사로 쓰인다. 이백(李白)은 촉도난(蜀道難)이라는 시를 지어 촉도의 어려움 하늘 오르는 것보다도 어렵다.”고 하였다.

촉도난[蜀道難] 여러 시인들이 읊은 촉도난이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당 나라 이백(李白)이 지은 촉도난이 가장 유명하다. 촉도는 중국 사천성(四川省) () 땅으로 통하는 고갯길인데, 길이 몹시 험하여서 험한 길의 대명사로 쓰인다.

촉도매복[蜀都賣卜] 어떤 사람이 하(황하)의 근원을 찾아 부인이 빨래함을 보고 물으니 여기가 천하(天河).”라고 했다. 그리고 돌을 하나 주기에 가지고 돌아와 엄군평(嚴君平)에게 물으니, 그가 가로되 이것은 직녀(織女)의 베틀 바치는 돌이다.”라고 했다. 엄군평이 촉() 나라의 도읍 성도(成都)에서 점장이 노릇을 하면서 충효와 신의(信義)로 사람들을 가르쳤으며, 날마다 백전(百錢)을 얻으면 곧 가게를 닫고 노자(老子)를 읽었다.

촉도읍옥인[蜀道泣玉人] 옥인(玉人)은 미인이란 뜻으로 양 귀비(楊貴妃)를 가리키는데, 당 현종(唐玄宗)이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피하여 파촉으로 피난갈 적에 양 귀비를 처형했으므로 한 말이다.

촉도청천취안대[蜀道靑天醉眼擡] 이태백이 촉도난(蜀道難)이란 시를 지었는데, 그 시의 끝에 () 나라 길이 험하여, 푸른 하늘에 오르기보다도 어렵구나[蜀道之難 難於上靑天]”라고 한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촉도행[蜀道行] () 나라 왕손이 촉()에 익주 자사(益州刺史)로 부임하다가 가장 험한 공극(邛棘)을 어렵게 알지 않고 말을 채찍질하였다.

촉도행장[蜀道行裝] 가진 재물이 없이 청빈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 나라 조변(趙抃)이 필마로 촉 땅으로 들어갈 때 거문고 한 벌과 학 한 마리만 데리고 갔던 고사에서 유래한다. <宋史 趙抃傳>

 

 



번호 제     목 조회
329 호권[虎圈]~호기[呼旗]~호기진등[豪氣陳登]~호노[楛砮]~호당[湖堂] 1936
328 첨연무가인[簷燕舞佳人] ~ 첨전홀후[瞻前忽後] ~ 첨해옥[添海屋] 1934
327 호포[戶布]~호포천[虎跑泉]~호표구관[虎豹九關]~호표부[虎豹符] 1928
326 철련전[鐵連錢] ~ 철륵[鐵勒] ~ 철면피[鐵面皮] 1926
325 태호[太皓]~태화[太和]~택거인[澤車人]~택궁[澤宮] 1926
324 파사[波斯]~파사성[婆娑城]~파산인[破山刃]~파상[灞上] 1923
323 투자[投刺]~투저[投杼]~투전공음정[投錢空飮井]~투초희[鬪草戲] 1922
322 철탑[鐵塔] ~ 철환공맹[轍環孔孟] ~ 첨노[尖奴] 1921
321 통신[通神]~통신담[通身膽]~통종[筒糉]~통진[通津] 1918
320 청간[靑簡] ~ 청간위수편[靑簡爲誰編] ~ 청강해중룡[聽講海中龍] 1917
319 화교애전[和嶠愛錢]~화교전[和嶠錢]~화국수[華國手]~화궁[花宮] 1911
318 침향[沈香] ~ 침향정[沈香亭] ~ 침회작[沈淮爵] ~ 칩충배호[蟄蟲坏戶] 19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