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총계[叢桂] ~ 총관[叢灌] ~ 총기[塚起] ~ 총령진전[葱嶺眞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31  

총감의[摠堪疑] 온통 의심스럽다.

총계[叢桂] 총계는 떨기로 난 계수나무를 말한다. 회남(淮南)의 소산(小山)에는 은사(隱士)가 많이 살았으며, 여기에는 또한 계수나무가 많았다.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초은사(招隱士)계수나무가 떨기로 났네 산의 깊은 곳에, 휘어지고 얽히었네 가지가 서로서로[桂樹叢生兮山之幽 偃蹇連蜷兮枝相繚]”라고 하였다.

총계소산사[叢桂小山詞] ()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에게 초빙된 인사들 가운데 소산(小山)이라고 일컫던 이들이 굴원(屈原)의 고사에 감동된 나머지 초은사(招隱士)’라는 시부(詩賦)를 지었는데, 그 첫 행에 桂樹叢生兮山之幽 偃蹇連蜷兮枝相繆라는 표현이 나온다. <楚辭 卷8 招隱士>

총관[藂菅] 섶풀이다.

총관[叢灌] 키가 3미터 내외의 나무로서 주간(主幹)이 분명하지 아니하고 밑동에서 가지가 나는 나무. 진달래사철나무앵두나무 등.

총기[塚起] 장군의 무덤을 말한다. () 나라의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이 죽은 뒤에, 천자가 이를 애도하며 그가 주둔했던 기련산(祁連山)의 형상을 조성하여 묘소를 만들게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漢書 卷55 霍去病傳>

총령[蔥嶺] 돈황(敦煌) 서쪽 8천 리, 신강성(新彊省) 서남 경()에 있는 신령, 산이 높고 크며 위에 파가 나므로 총령이라 한다. 곤륜(崑崙)천산(天山)의 산맥이 시작되는 아시아의 산등. 달마(達磨)대사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면벽(面壁) 9년 동안 혜가(慧可)에게 법을 전한 뒤 양() 나라 대동(大同) 원년에 시기하는 자가 드리는 세 번째 독약에 알면서도 일부러 중독하여 웅이산(熊耳山) 정림사(定林寺)에 매장되었으나, 뒤의 전설에, () 나라의 사신 송운(宋雲)이 서역(西域)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총령(葱嶺)에서 대사가 맨발로 신 한 짝을 들고 가는 것을 만나보고 와서 그 무덤을 파 보니 신 한 짝이 있을 뿐이었다 한다. <高僧傳>

총령진전[葱嶺眞詮] 선가에서 표방하는 최고의 진리를 말한다. 달마(達摩)가 열반한 뒤에 신발 한 짝을 들고 총령을 넘어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진전은 속제(俗諦)에 대한 진제(眞諦) 즉 불교 최상의 경지를 가리킨다.

총림[叢林] 승도(僧徒)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곳. 즉 승원(僧苑)승당(僧堂)선림(禪林)전문도량(專門道場) 등 많은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의 총칭.

 

 



번호 제     목 조회
341 호복기사[胡服騎射]~호복의[濠濮意]~호부[虎符]~호분[胡紛]~호분[虎賁] 1965
340 홍애[洪崖]~홍애견박[洪崖肩拍]~홍애자[洪厓子]~홍약[紅藥] 1965
339 화용월태[花容月態]~화우[火牛]~화우[花雨]~화우지계[火牛之計]~화운[火雲] 1965
338 철습[綴拾] ~ 철심인[鐵心人] ~ 철연[鐵硯] 1962
337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1958
336 박혁현호이[博奕賢乎已] ~ 박효백[朴孝伯] ~ 박희[薄姬] 1955
335 택우천형[澤虞川衡]~택풍괘[澤風卦]~택풍대상[澤風大象]~탱장문자[撑腸文字] 1955
334 무미랑[武媚娘] ~ 무미만굴[霧迷蠻窟] ~ 무병자구[無病自灸] 1953
333 서견[噬犬] ~ 서경[西京] ~ 서경루망[西京漏網] 1945
332 철적[鐵笛] ~ 철점은구[鐵點銀鉤] ~ 철철[掣掣] 1945
331 침석수류[枕石潄流] ~ 침어낙안[沈魚落雁] ~ 침옥고의홀거삼[寢屋皐衣忽擧三] 1941
330 청열석[淸裂石] ~ 청영계남월[請纓繫南越] ~ 청오술[靑烏術] 194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