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총마계축[驄馬契軸] ~ 총마어사[驄馬御使] ~ 총부[冢婦]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17  

총마[驄馬] 청백색의 말을 총마라 한다.

총마[驄馬] 총마는 총이말인데, 후한(後漢) 때 시어사(侍御史) 환전(桓典)이 항상 이 총마를 타고 다녔던 데서 법관이 탄 말을 비유하기도 한다. 후한 환전이 시어사가 된 뒤 늘 총마를 타고 다니며 엄하게 법을 집행했으므로 총마어사(驄馬御史)가 온다. 꼭꼭 숨어라.”는 말이 유행했다고 한다. <後漢書 桓典傳>

총마계축[驄馬契軸] 사헌부(司憲府)의 계축(契軸)을 뜻한다. 후한(後漢) 때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로 있으면서 항상 총마(驄馬)를 타고 다녔던 데서 온 말인데, 환전이 매우 엄정(嚴正)하였으므로, 당시 간소배들이 항상 총마어사를 기피했다고 한다. <後漢書 卷三十七>

총마어사[驄馬御史] 백관(百官)을 규찰(糾察)하는 어사대(御史臺), 즉 사헌부의 관원을 가리킨다. 동한(東漢)의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에 임명된 뒤 권귀(權貴)를 두려워하지 않고 가차없이 법대로 처리하였으므로, 그가 총마(驄馬)를 타고 거리에 나타나면 사람들이 총마 어사님 나오신다 길을 비켜라.[避驄馬御史]”라고 말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7 桓榮傳 附 桓典傳>

총마어사[驄馬御使] 총마어사는 후한 때의 환전(桓典)을 가리킴. 환전은 어사가 되어 항상 총마를 타고 다녔는데, 그는 성품이 엄정하여 용사(用事)하는 간인(奸人)들을 마구 탄핵하였으므로, 간인들이 항상 그를 두려워하여 피하면서 총마어사라고 일컬었던 데서 온 말이다.

총매[叢梅] 군락을 이룬 매화 덤불.

총박조[叢薄照] 엷은 볕이 모이다.

총부[冢婦] 적장자(嫡長子)의 아내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73 철목씨[鐵木氏]~ 철문한[鐵門限] ~ 철부지급[轍鮒之急] 2011
4972 청규[靑規] ~ 청금무[淸琴撫] ~ 청낭결[靑囊訣] 2012
4971 화담[花潭]~화당전위[畫堂傳位]~화덕[火德]~화도박수[鞾刀帕首]~화두[話頭] 2012
4970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2014
4969 화택[火澤]~화택천대[火宅泉臺]~화토필[花吐筆]~화판[花判]~화포[和炮] 2014
4968 화자[華子]~화자발[和子鉢]~화잠[華簪]~화재어호한[禍在魚狐閒]~화저[花猪] 2015
4967 홍렬[鴻烈]~홍로[洪鑪]~홍로점설[紅爐點雪]~홍루[紅淚]~홍류적[鴻留迹] 2017
4966 화웅[畫熊]~화웅권학[和熊勸學]~화원[華元]~화월[花月] 2017
4965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2018
4964 천심선허두견지[天心先許杜鵑知] ~ 천악[天樂] ~ 천안변초균[天眼辨楚菌] 2019
4963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19
4962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202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