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취전[聚羶] ~ 취처생자[娶妻生子] ~ 취탈화[醉脫靴] ~ 취포[吹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81  

취자생[娶訾生] 돼지 띠라는 말이다. 예기(禮記) 월령(月令)孟春之月 日在營室의 주()취자는 해차(亥次)의 호()이다.”라고 하였다. 취자(娶訾)娵訾혹은 諏訾와 통용한다.

취전[聚羶] 장자(莊子), 양고기는 개미떼를 그리워하지 않지만 개미떼들은 누린내 나는 양고기에 모여드는 것을 말하여, ()을 양고기에, 순을 따르던 백성들을 개미떼에 비유하였다. <莊子 徐无鬼>

취증[翠曾] 갑자기 나는 모양.

취진[驟進] 급히 나아가다.

취처생자[娶妻生子] ()인 율()이 음()인 여()와 교합하여 아들을 낳는다는 뜻으로, 즉 삼분손익(三分損益)의 법칙에 따라, 양률이 음률을 낳을 때는 하생(下生)이라 하여 3분의 1을 덜어 주고, 을률이 양률을 낳을 때는 상생(上生)이라 하여 3분의 1을 더해 주는데, 예를 들면 황종(黃鐘)의 길이가 9촌인 경우, 황종이 임종(林鐘)을 낳는 것은 하생이 되어 임종의 길이가 6촌이 되고, 임종이 태주(太簇)를 낳는 것은 상생이 되어 태주의 길이가 8촌이 되는 유로써 서로 생()하는 것을 말한다.

취탈화[醉脫靴] 이백(李白)이 어전에 취해 있을 때 환관 고 역사(高力士)가 당 명황(唐明皇)의 명으로 그의 신을 벗겨 준 일이 있었는데 역사가 그것을 수치스럽게 여기고 있다가 양귀비(楊貴妃)에게 그가 지은 청평악사(淸平樂詞) 가운데 가련 비연의신장(可憐飛燕倚新粧)이란 구절은 한() 나라의 여우 같은 조비연(趙飛燕)을 귀비에 비유하여 모욕한 것이다.”고 참소하여 그의 출세를 저지시켰다는 고사이다.

취포[吹布] 불법(佛法)을 깨우쳐 주는 것을 말한다. 전등록(傳燈錄)도림선사(道林禪師) 밑에 있던 시자(侍者) 한 사람이 다른 곳으로 떠나가려 하였다. 선사가 어디로 가려고 하느냐?’ 하고 묻자 여러 곳으로 다니면서 불법을 배우려 한다.’ 대답하였다. 그러자 선사가 그러한 불법은 여기에도 있다.’ 하고는 조금 있다가 자신의 몸에서 포모(布毛)를 따내어 그것을 입으로 불어 계시하여 주었는데, 그는 마침내 불법을 깨달았다. 그래서 당시에 그를 가리켜 포모시자(布毛侍者)라 하였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877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181
4876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184
4875 천령[川寧] ~ 천록조청려[天祿照靑藜] ~ 천뢰[天籟] 2185
4874 천학비재[淺學菲才] ~ 천향[天香] ~ 천형[踐形] 2186
4873 퇴지[退之]~퇴지금시[退之琴詩]~퇴지산석구[退之山石句]~ 2186
4872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187
4871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190
4870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98
4869 왕황후[王皇后] ~ 왕회[王會] ~ 왕회[王恢] 2199
4868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199
4867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200
4866 용강[龍岡] ~ 용강상산고가람[龍江上山古伽藍] ~ 용개고문[容蓋高門] 220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