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치아요사[癡兒了事] ~ 치애[癡獃] ~ 치연[癡掾] ~ 치예[雉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79  

치아요사[癡兒了事] 어리석은 사람이라야 일을 제대로 잘 마친다.

치악우두은둔촌[雉岳牛頭隱遁村] 고려 말의 충신 원천석(元天錫)이 치악산에 들어가 숨어살았고, 고려의 학자 이자현(李資玄)이 우두산(牛頭山)이 있는 춘천(春川)의 청평(淸平)에서 운둔하며 수도(修道)한 고사가 있다.

치안책[治安策] () 나라 문제(文帝) 때에 가의(賈誼)가 신진소년(新進少年)으로 치안책(治安策)을 올렸다. 대신들이 그를 서생(書生)이 시대에 맞지 않는 의논만 하는 사람이라고 헐뜯었다.

치애[癡獃] 치애는 곧 어리석고 바보스러움을 말한다. 매치애(賣癡獃).

치여[菑畬] 치여(菑畬)는 묵은 밭을 갈아서 농사를 짓는 것인데, 한유(韓愈)가 그 아들에게 글 읽기를 권하는 시()경훈(經訓)을 치여로 삼아라.”라고 하였다.

치연[癡掾] 어리석은 아전이란 말로 자신을 겸사로 지칭한 것이다.

치연[癡掾] 치연은 왕탄지의 부친인 왕술(王述)을 가리키는데, 왕술이 일찍이 명성이 별로 없어 어떤 이가 그를 치()라고 하였으므로, 뒤에 그가 왕도(王導)의 연()이 되었을 적에 왕도가 그에게 다른 말은 묻지 않고 오직 강동(江東)의 쌀값을 물으니, 왕술이 눈만 부릅뜨고 대답을 하지 않으므로, 왕도가 말하기를 왕연(王掾)은 치()가 아니다. 어찌하여 사람들이 치라 했는고?”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七十五>

치예[雉鷖] 꿩의 덫을 이름. 삼국(三國) 시대 오()의 손권(孫權)이 꿩사냥을 좋아하므로, 반준(潘濬)이 그에게 꿩사냥을 하지 말라고 간하였는데, 그 후에도 꿩의 덫이 그대로 있자, 반준이 이에 손수 그 덫을 모두 치워버렸더니, 손권이 그 후로는 다시 꿩사냥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三國志 卷十一 潘濬傳注>

 

 



번호 제     목 조회
4817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161
4816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162
4815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164
4814 안유자손[安遺子孫] ~ 안이[顔異] ~ 안인한[安仁恨] 2164
4813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165
4812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2168
4811 유로[兪盧] ~ 유로수반계[有路須攀桂] ~ 유룡[猶龍] 2171
4810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174
4809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176
4808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176
4807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2178
4806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217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