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13  

치절[痴絶] 지극히 어리석다는 말로, 진서(晋書) 92세상에서 말하기를, 고개지(顧愷之)는 세 가지 뛰어난 것이 있으니, 재주가 뛰어나고[才絶], 그림 솜씨가 뛰어나고[畫絶], 어리석음이 뛰어났다[痴絶]고 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치절[癡絶] 치절은 아주 시시하다는 말로, 진서(晋書) 고개지전(顧愷之傳)고개지(顧愷之)가 삼절(三絶)이 있는데, 재절(才絶)화절(畫絶)치절(癡絶)이라 하였다.

치조비조[雉朝飛操] 제 선왕(齊宣王) 때의 처사(處士)인 독목자(犢牧子)는 나이 50세가 되도록 아내가 없었으므로, 한번은 산에 땔나무를 하러 갔다가 암꿩과 수꿩이 서로 따르며 날아다니는 것을 보고는,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기를 대성(大聖)이 위에 계시어 은택이 초목 금수에까지 미치고 있는데 나만 유독 은택을 입지 못했다.”라 하고, 인하여 거문고를 타서 치조비조(雉朝飛操)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樂府詩集 琴曲歌辭>

치지도외[置之度外] 내버려 두고 상대를 하지 않음. 도외시(度外視)하여 내버려 둠.

치진피소포[緇塵避素袍] 성정이 고결한 인사들은 도성에서 벼슬살이하는 일을 그만두고 은거하는 생활을 즐겼다는 말이다. () 나라 육기(陸機)서울엔 어찌 그리 풍진도 많은지, 흰 옷이 온통 새카맣게 변하였네.[京洛多風塵 素衣化爲緇]”라고 읊은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文選 卷24 爲顧彦先贈歸>

치창시[熾昌詩] 시경(詩經) 노송(魯頌) 비궁(閟宮)너에게 부귀영화가 불일 듯 하고, 너에게 오래 살고 덕이 있게 하기 바라노라.[俾爾熾而昌 俾爾壽而臧]”라고 하였다.

치천[穉川] 박상홍(朴相洪)의 자이다. 이덕무의 외사촌동생이다.

치천[稚川] () 나라 때 도가(道家)로 이름난 갈홍(葛洪)의 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973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120
4972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1951
4971 칠귀[七鬼] ~ 칠귀[七貴] ~ 칠난감[七難堪] ~ 칠덕가[七德歌] ~ 칠도신[漆塗身] 1739
4970 칠관[七款] ~ 칠교[七校] ~ 칠국[七國]] 1738
4969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075
4968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1806
4967 치황[緇黃] ~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 ~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 1708
4966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2025
4965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1814
4964 치인설몽[痴人說夢] ~ 치자환주[癡子還珠] ~ 치장[植杖] 1746
4963 치의[緇衣] ~ 치이자[鴟夷子] ~ 치이자피[鴟夷子皮] 3925
4962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4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