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07  

칙칙[恜恜] 조심하는 모양

친근사구정불비[親近沙鷗靜不飛] 바닷가에 사는 사람이 어떤 노인이 매일같이 갈매기와 어울려 놀았는데, 하루는 그의 어린 딸이 한 마리 잡아오라고 해서, 그 다음 날 바닷가에 나갔더니 갈매기들이 다시는 다가오지 않았다 한다. 아무 욕심이 없는 은둔 생활을 뜻한다.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 논어(論語) 이인(里仁)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다.

친라올군[親羅兀軍] 국경 지대의 농사꾼을 보호하던 군인. 조선 초기부터, 야인(野人)과 접경을 하고 있는 함경도평안도 양도의 변경에는 여름철에 농사꾼이 농사를 짓다가 적에게 포로되어 가는 사고가 매우 빈번하였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군사를 먼저 변경에 내보내 적변(賊變)이 있나 없나를 살피도록 한 뒤에 농사꾼을 들여보내서 농사를 짓게 하였다. 그 순찰하는 군인을 친라올군(親羅兀軍)이라 일컬었던 것이다.

친변[親邊] 부모님 곁.

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두보(杜甫)의 취시가(醉時歌)제공들 줄지어 대성에 오르는데, 광문 선생 관직만은 홀로 썰렁하구나.[諸公袞袞登臺省 廣文先生官獨冷]”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3>

친왕[親王] 황제(皇帝)의 형제나 황제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친위세안중첨선[親闈歲晏重添線] 어머니가 자식의 옷을 짓는 것을 말한 것으로, 맹교(孟郊)의 유자음(遊子吟)자모가 손수 바느질한 것은 유자가 입을 옷이로다.[慈母手中線 遊子身上衣]”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97 가동필[呵凍筆]~가두[加豆]~가두[賈杜] 1567
5296 가동[賈董]~가동가서[可東可西]~가동시졸[街童市卒]~가동주졸[街童走卒] 1699
5295 가독[家督]~가돈[嘉遯]~가돈실[賈敦實]~가돈이[賈敦頤] 1427
5294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320
5293 가도고문[賈島敲門]~가도려과[賈島驢跨]~가도멸괵[假道滅虢]~가도벽립[家徒壁立] 1424
5292 가도[賈島]~가도[家道]~가도[可道]~가도[可度]~가도[家塗]~가도[椵島] 1505
5291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341
5290 가달[假㺚]~가담[迦譚]~가담[賈耽]~가담항어[街談巷語]~가당오씨[可堂吳氏] 1296
5289 가노재피[可怒在彼]~가녹명이래[歌鹿鳴而來]~가롱성진[假弄成眞] 1157
5288 가납[嘉納]~가납[加納]~가낭선[賈浪仙]~가낭중[賈郞中]~가녀[歌女] 1141
5287 가기이대[可跂而待]~가기이방[可欺以方]~가기충려[佳氣充閭]~가남풍[賈南風] 1179
5286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가금[價金]~가급인족[家給人足]~가기[佳期]~가기[佳氣] 153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