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94  

칙칙[恜恜] 조심하는 모양

친근사구정불비[親近沙鷗靜不飛] 바닷가에 사는 사람이 어떤 노인이 매일같이 갈매기와 어울려 놀았는데, 하루는 그의 어린 딸이 한 마리 잡아오라고 해서, 그 다음 날 바닷가에 나갔더니 갈매기들이 다시는 다가오지 않았다 한다. 아무 욕심이 없는 은둔 생활을 뜻한다.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 논어(論語) 이인(里仁)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다.

친라올군[親羅兀軍] 국경 지대의 농사꾼을 보호하던 군인. 조선 초기부터, 야인(野人)과 접경을 하고 있는 함경도평안도 양도의 변경에는 여름철에 농사꾼이 농사를 짓다가 적에게 포로되어 가는 사고가 매우 빈번하였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군사를 먼저 변경에 내보내 적변(賊變)이 있나 없나를 살피도록 한 뒤에 농사꾼을 들여보내서 농사를 짓게 하였다. 그 순찰하는 군인을 친라올군(親羅兀軍)이라 일컬었던 것이다.

친변[親邊] 부모님 곁.

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두보(杜甫)의 취시가(醉時歌)제공들 줄지어 대성에 오르는데, 광문 선생 관직만은 홀로 썰렁하구나.[諸公袞袞登臺省 廣文先生官獨冷]”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3>

친왕[親王] 황제(皇帝)의 형제나 황제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친위세안중첨선[親闈歲晏重添線] 어머니가 자식의 옷을 짓는 것을 말한 것으로, 맹교(孟郊)의 유자음(遊子吟)자모가 손수 바느질한 것은 유자가 입을 옷이로다.[慈母手中線 遊子身上衣]”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329 호권[虎圈]~호기[呼旗]~호기진등[豪氣陳登]~호노[楛砮]~호당[湖堂] 1919
328 침석수류[枕石潄流] ~ 침어낙안[沈魚落雁] ~ 침옥고의홀거삼[寢屋皐衣忽擧三] 1914
327 호포[戶布]~호포천[虎跑泉]~호표구관[虎豹九關]~호표부[虎豹符] 1913
326 철련전[鐵連錢] ~ 철륵[鐵勒] ~ 철면피[鐵面皮] 1908
325 태호[太皓]~태화[太和]~택거인[澤車人]~택궁[澤宮] 1906
324 파사[波斯]~파사성[婆娑城]~파산인[破山刃]~파상[灞上] 1906
323 철탑[鐵塔] ~ 철환공맹[轍環孔孟] ~ 첨노[尖奴] 1901
322 통신[通神]~통신담[通身膽]~통종[筒糉]~통진[通津] 1901
321 투자[投刺]~투저[投杼]~투전공음정[投錢空飮井]~투초희[鬪草戲] 1901
320 청간[靑簡] ~ 청간위수편[靑簡爲誰編] ~ 청강해중룡[聽講海中龍] 1900
319 명실상부[名實相符] ~ 명어화정[鳴於華亭] ~ 명왕막사투편지[名王莫肆投鞭志] 1894
318 화록[畫鹿]~화록점상[畵鹿占祥]~화룡[火龍]~화룡점정[畵龍點睛] 1891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