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칠관[七款] ~ 칠교[七校] ~ 칠국[七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38  

칠관[七款]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奇宮閑舘 廻庭洞門 井幹廣望 重閣相因

칠관혼돈증개규[七官混沌曾開竅] 남해와 북해의 제왕들이 중앙의 제왕인 혼돈(混沌)의 덕에 보답할 목적으로, 사람처럼 일곱 개의 감각 기관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하루에 한 구멍씩 뚫어 주었는데, 일주일이 되던 날 혼돈이 그만 죽고 말았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끝에 나와 있다.

칠교[七校] 한서(漢書)의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무제가 백월을 평정하여 안으로 일곱 교위를 늘렸다.[武帝平百粤, 內增七校]” 이에 대해 안사고(顔師古)는 다음과 같은 주석을 달았다. “백관표에는 무릇 중루’, ̖둔기’, ‘보병’, ‘월기’, ̖장수’, ‘호기’, ‘사성’, ‘호분이라는 여덟 교위가 있는데, ‘호기는 늘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일곱이라고 한 것이다.[百官表: 中壘̖屯騎̖步兵̖越騎̖長水̖胡騎̖射聲̖虎賁, 凡八校尉. 胡騎不常置, 故此言七也.]” 교위(校尉)는 한나라 군대 관직의 명칭이며 대략 장군 다음가는 관직이었다.

칠교[七校] 한 나라 때 일곱 종류의 무관(武官) 교위. 곧 중루(中壘)둔기(屯騎)보병(步兵)월기(越騎)장수(長水)석성(射聲)호분(虎賁)등이다.

칠교[七校] 한 무제(漢武帝)가 백월(白粤)을 평정하고 나서 증설한 7교위(校尉)를 말한다. <漢書 刑法志>

칠국[七國] 오초(吳楚) 칠국의 란을 말한다.전한의 6대 황제인 경제(景帝 : 재위 기원전 157 - 141년으로 한무제는 그의 아들이다.) 때인 기원전 154년 오왕(吳王) 유비(劉濞)가 주도한 반란. 칠국이란 오왕 외에 초왕(楚王) 유무(劉戊), 교서왕(膠西王) 유앙(劉卬), 교동왕(膠東王) 유웅거(劉熊渠), 치천왕(淄川王) 유현(劉賢), 제남왕(濟南王) 유벽광(劉辟光), 조왕(趙王) 유수(劉遂) 등을 말한다. 경제가 즉위하자 법가인 조착(鼂錯)을 기용하여 제후들의 봉지를 줄이려고 하자 칠왕이 령에 따르지 않고 반란을 일으켰다. 한나라 조정은 주아부(周亞夫), 란포(欒布), 두영(竇嬰) 등의 장군을 보내어 진압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경제는 조착에게 책임을 물어 처형하고 칠국의 제후들을 회유하려 했으나 그 마저 성과가 없었다. 오히려 오초(吳楚) 연합군은 공세를 강화하여 지금의 안휘성 영성(永城) 북서 쪽의 극벽(棘壁)이란 곳에서 양나라 군사를 대파했다. 그러나 오초 반란군도 양나라의 도성인 수양성(睢陽城)은 함락시키지 못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얻지 못했다. 오초 연합군이 양나라의 수양성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사이에 한나라 조정은 주아부를 태위로 삼아 토벌군을 출동시켰다. 주아부는 토벌군을 이끌고 지금의 산동성과 하남성의 경계에 있던 전략상의 요충지인 창읍(昌邑)으로 들어가 오초 연합군이 본국과의 연락로를 끊었다. 반란군이 창읍으로 달려와 토벌군을 공격했지만 주아부는 대응하지 않고 지구전을 벌렸다. 오초 반란군의 보급을 차단하고 있었음으로 시간이 지나면 식량이 떨어져 반란군은 곤경에 빠뜨리고자 함이었다. 주아부의 생각대로 이윽고 반란군은 식량이 떨어져 아사자가 속출하기 시작하고 배고픔을 참지 못한 장병들이 잇달아 달아났다. 주아부가 창읍의 성에서 나와 반란군의 본군을 공격했다. 오왕은 친위대만을 데리고 달아났고 초왕 유무(劉戊)는 자살하고 말았다. 한편 교서, 교동, 치천, 제남의 왕들은 연합하여 오초에 호응하려고 했으나 제남왕이 중도에 마음을 바꿔 반란군에서 이탈하자 세 왕의 연합군이 그 도성인 임치성을 포위 공격했다. 그러나 그들은 제남왕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쳐 싸움은 교착상태로 빠졌다. 그 사이 오초 연합군이 주아부의 토벌군에 패해 달아났다는 소식을 듣고 세 왕들은 임치성에 대한 포위망을 풀고 철수했다. 그러나 그들의 뒤를 토벌군이 추격하자 세 왕은 모두 자살했다. 한편 조왕 유수는 한단성(邯鄲城)에서 농성하며 저항했지만 한나라 장군 역기(酈寄)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고 그 역시 자살하고 말았다. 창읍에서 달아나 장강을 도하하여 오나라 본국으로 들어간 오왕은 그의 요청에 응하여 출동한 동월군(東越軍)의 마중을 받았다. 그러나 그 때는 동월왕은 반란군에게 형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한나라 조정과 내통하고 있던 상태였다. 동월군은 오왕을 잡아서 죽이고 그 목을 한나라 조정으로 보냈다. 이윽고 오초칠국의 란은 조왕이 한단성에서 농성하다 자살한 시점을 그 끝으로 본다면 10개월만에 막을 내리게 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1387
5308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24
5307 가목[假牧]~가목가[稼牧家]~가묘[假廟]~가묘사당[家廟祠堂] 1440
5306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1510
5305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300
5304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1351
5303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1615
5302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1467
5301 가례[加禮]~가례[嘉禮]~가례의절[家禮儀節]~가로[家老]~가록[加錄] 1509
5300 가려지[佳麗地]~가련[可憐]~가렴[價廉]~가렴주구[苛斂誅求]~가령[家令] 1596
5299 가란[柯爛]~가람[岢嵐]~가람[伽藍]~가랑선[賈浪仙]~가래모[歌來暮] 1243
5298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46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