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침개[針芥] ~ 침고[沈橭] ~ 침과[枕戈] ~ 침괴[枕塊] ~ 침류수석[枕流漱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73  

침개[針芥] 자석(磁石)에 붙는 바늘과 호박(琥珀)에 붙는 개자. 자석은 능히 바늘을 끌어오고 호박(琥珀)은 능히 개자(芥子)를 줍는다는 옛말이 있으므로 사람의 정과 성()이 계합(契合)하는 것에 인용한다.

침계평안불사시[寢戒平安不似屍] 시체처럼 눕지는 말라는 뜻. 논어(論語) 향당(鄕黨)공자는 누울 적에 시체처럼 하지 않았다.” 하였는데, 집주(集註)이것은 시체와 같은 것을 미워해서 뿐만 아니라 게으른 기색을 보이지 않기 위해서이다.”라고 하였다.

침고[沈橭] ()시대에 수충(水蟲)제거를 맡았던 호탁씨(壺涿氏)가 수신(水神)을 죽이기 위하여 느릅나무 줄기에다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다 상아(象牙)를 꿰어 십자(十字)모양으로 만든 다음 그것을 물 속에다 가라앉히면 그곳 수신은 죽고 그 못은 변하여 구릉이 된다는 것이다. <周禮 秋官 壺涿氏>

침과[枕戈] 부모의 원수를 갚으려 할 적에는 거적자리에 잠자고 창을 베고 자며, 원수와는 한 하늘 밑에 같이 살지 않는다 하였다. <禮記>

침과[枕戈] 창을 베고 잔다는 뜻인데, 군국(軍國)의 일로 인하여 편하게 잠자지 않음을 비유한 것으로, 위급한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대비하기 위하여 항상 경계를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晉書 劉琨傳>

침괴[枕塊] 부모 상중(喪中)에 비통한 뜻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주(喪主)가 누울 때 흙덩어리를 베개로 삼는 것을 말한다.

침괴명발와[枕塊明發窩] 명발와는 김종직(金宗直)의 서재 이름이고, 흙덩이를 벤다는 것은 곧 부모의 상중에 있음을 뜻한다. 의례(儀禮) 기석례(旣夕禮)거적을 깔고 흙덩이를 벤다.[寢苫枕塊]”고 하였다.

침류수석[枕流漱石] () 나라 손초(孫楚)가 산수간에 숨어살겠다는 뜻을 말하면서 나는 돌을 베개로 삼고 흐르는 물에 입을 씻겠다.”고 하려는 것이 말이 잘못 나와서 흐르는 물을 베고 돌로 입을 씻겠노라.”라고 하였다. 옆에 사람이 조롱하기를 흐르는 물을 어찌 베개로 삼으며 돌로 어찌 입을 씻으랴.”라고 하니, 그는 답하기를 흐르는 물을 베개로 함은 귀를 씻으려는 것이요, 돌로 입을 씻음은 이[]를 잘 닦으려 함이다.”라고 하였다는 일화(逸話)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876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2940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1817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1817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1722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776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1791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1821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1957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1800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2009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211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