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57  

침명도[沈冥圖] 자신의 자취가 세상에 드러나지 않고 묻혀지게 하려는 의도를 뜻한다.

침묘[寢廟] 옛날 종묘(宗廟)의 제도에, 앞에 있는 것을 묘(), 뒤에 있는 것을 침()이라 하였다.

침문[寢門] 내실(內室)의 문. 당 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장경집(長慶集) 11 곡제고인인기원8(哭諸故人因寄元八)어제도 침문에서 통곡을 하고 오늘도 침문에서 통곡하였네.[昨日哭寢門 今日哭寢門]”라고 하였다.

침문[寢門] 친구의 죽음에 곡()하는 것을 뜻한다.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스승에게는 내가 정침(正寢)에서 곡하고, 친구에게는 내가 침문(寢門) 밖에서 곡할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침문은 곧 정침의 문을 가리킨다. <禮記 檀弓上>

침문[寢門] 태자가 새벽마다 황제의 침실(寢室) 문 앞에 문안하였다.

침비두예[沈碑杜預] ()나라 두예(杜預)가 형주(荊州)를 지키는 대장으로 있으면서, 부하들과 함께 현산(峴山)에 올라가 탄식하기를 이 산은 항상 있건마는 이 산에 놀던 사람은 천추 뒤에 누가 알겠는가.”라 하고, 비석(碑石) 돌을 만들어 자기의 사적을 새겨서, 하나는 산 위에 세워 두고, 하나는 후일에 산천이 변하여 산이 못이 되고, 못이 육지가 될 때를 예상하여 연못 속에 던져두었다.

침상공명[枕上功名] 노생(盧生)이 도사(道士)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렸다는 한단지몽(邯鄲之夢)의 고사를 말한다.

침상한[沈湘恨] 임금과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버리지 못했다는 뜻인데, ()의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강 가에서 통곡하다가 물에 빠져 죽었는데 이에서 인용한 말이다.

침상현비[沈上峴碑] () 나라 두예(杜預)가 후세에 이름을 남기기를 좋아하여 비석(碑石) 둘을 만들어서 공적(功績)을 새겨, 하나는 현산(峴山) 위에 세우고 하나는 만산(萬山) 아래 못물 속에 넣으면서 후에 산이 못이 되고 못이 산이 될는지 모르므로, 비석을 이렇게 돌을 준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321 가사마[家司馬]~가사유지[可使由之]~가사임장[家事任長]~가사협[賈思勰]~가삭[家削] 1812
5320 가사[歌斯]~가사가치[家事可治]~가사과상[可使過顙]~가사급[加四級]~가사도[賈似道] 1450
5319 가비옥이주[可比屋而誅]~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가빈사양처[家貧思良妻] 1549
5318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1467
5317 가분불가분[可分不可分]~가분지락[歌汾之樂]~가불가연불연[可不可然不然] 1698
5316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1457
5315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가부신재[可不愼哉]~가부좌[跏趺坐]~가부지친[葭莩之親] 1774
5314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1438
5313 가부[賈傅]~가부[葭莩]~가부[賈傅]~가부[假父] 1638
5312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1694
5311 가복[加卜]~가복[加服]~가봉[歌鳳]~가봉녀[加捧女]~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1793
5310 가변[加籩]~가병[佳兵]~가보보지[可輔輔之]~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155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