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30  

침명도[沈冥圖] 자신의 자취가 세상에 드러나지 않고 묻혀지게 하려는 의도를 뜻한다.

침묘[寢廟] 옛날 종묘(宗廟)의 제도에, 앞에 있는 것을 묘(), 뒤에 있는 것을 침()이라 하였다.

침문[寢門] 내실(內室)의 문. 당 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장경집(長慶集) 11 곡제고인인기원8(哭諸故人因寄元八)어제도 침문에서 통곡을 하고 오늘도 침문에서 통곡하였네.[昨日哭寢門 今日哭寢門]”라고 하였다.

침문[寢門] 친구의 죽음에 곡()하는 것을 뜻한다.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스승에게는 내가 정침(正寢)에서 곡하고, 친구에게는 내가 침문(寢門) 밖에서 곡할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침문은 곧 정침의 문을 가리킨다. <禮記 檀弓上>

침문[寢門] 태자가 새벽마다 황제의 침실(寢室) 문 앞에 문안하였다.

침비두예[沈碑杜預] ()나라 두예(杜預)가 형주(荊州)를 지키는 대장으로 있으면서, 부하들과 함께 현산(峴山)에 올라가 탄식하기를 이 산은 항상 있건마는 이 산에 놀던 사람은 천추 뒤에 누가 알겠는가.”라 하고, 비석(碑石) 돌을 만들어 자기의 사적을 새겨서, 하나는 산 위에 세워 두고, 하나는 후일에 산천이 변하여 산이 못이 되고, 못이 육지가 될 때를 예상하여 연못 속에 던져두었다.

침상공명[枕上功名] 노생(盧生)이 도사(道士)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렸다는 한단지몽(邯鄲之夢)의 고사를 말한다.

침상한[沈湘恨] 임금과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버리지 못했다는 뜻인데, ()의 비()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강 가에서 통곡하다가 물에 빠져 죽었는데 이에서 인용한 말이다.

침상현비[沈上峴碑] () 나라 두예(杜預)가 후세에 이름을 남기기를 좋아하여 비석(碑石) 둘을 만들어서 공적(功績)을 새겨, 하나는 현산(峴山) 위에 세우고 하나는 만산(萬山) 아래 못물 속에 넣으면서 후에 산이 못이 되고 못이 산이 될는지 모르므로, 비석을 이렇게 돌을 준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37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07
436 부귀김장[富貴羨金張] ~ 부귀화[富貴花] ~ 부금[覆錦] 2106
435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104
434 투할[投轄]~투핵[投劾]~투호[投壺]~특달규장[特達圭璋] 2103
433 단후[短後] ~ 달권[達權] ~ 달달[怛怛] 2100
432 통덕[通德]~통만[統萬]~통반[筒飯]~통방외[通方外] 2098
431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095
430 달수[獺髓] ~ 달유보본[獺猶報本] ~ 달인비과망[達人非果忘] 2094
429 청유막[靑油幕] ~ 청음경노학지시[淸音警露鶴知時] ~ 청의주[靑衣主] 2094
428 탕한[湯旱]~탕확[湯鑊]~탕휴[湯休]~태갑[太甲] 2094
427 노화[爐火] ~ 노후반[魯侯泮] ~ 녹거귀[鹿車歸] 2093
426 호위[虎闈]~호위문견[胡威問絹]~호유[胡荽]~호의[狐疑]~호의[縞衣] 2093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