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침향[沈香] ~ 침향정[沈香亭] ~ 침회작[沈淮爵] ~ 칩충배호[蟄蟲坏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96  

침향[沈香] 생목(生木) 또는 고목(枯木)을 땅 속에 묻어 수지(樹脂)가 적은 부분을 썩히고 많은 부분을 쓰는데, 줄기의 상처나 단면에서 흐르는 수지를 침향이라 하여 예부터 귀중한 향료로 쓰였다.

침향정[沈香亭] 당 나라 때 금중(禁中)에 있던 정자 이름. 현종(玄宗)과 양귀비(楊貴妃)가 작약과 모란을 관상하면서 이백(李白)을 불러 시를 짓게 하며 놀았다고 한다. <樂史 李翰林別集序>

침향정[沈香亭] 당 명황이 대궐의 모란꽃을 흥경지(興慶池)에 옮겨 심어 놓고 꽃을 오나성하며 양귀비(楊貴妃)와 즐기던 정자이다. 이백의 청평사(淸平詞), ‘침향정 북쪽 난간에 기대었다.[沈香亭北倚欄干]’는 구절이 있다.

침향정[沈香亭] 침향정은 당대(唐代) 대궐 안에 있던 정자 이름이다. 어느 날 달밤에 명황(明皇)이 양귀비와 함께 나와서 정자 앞 목작약(木芍藥)을 구경하다가, 이름난 꽃을 구경하는데 어찌 묵은 악사(樂詞)를 쓰겠느냐면서 대뜸 한림학사 이백(李白)을 불러 새로운 청평악사(淸平樂詞) 세 편을 짓도록 하였다. <楊太眞 外傳>

침회작[沈淮爵] ()은 작()과 같은 뜻으로 참새를 말하는데, 예기(禮記) 월령(月令)늦가을에 작()이 바다에 들어가 조개가 된다.”고 하였고, 국어(國語) 진어(晉語)에는 작은 바다에 들어가 조개가 되고 꿩은 회수에 들어가 대합조개가 된다.”고 하였다.

칩배[蟄坏] 벌레들이 칩거(蟄居)하기 좋게 흙을 가지고 구멍을 막는다는 칩충배호(蟄蟲坏戶)’의 준말로, 두문불출(杜門不出)하며 숨어 지내는 것을 말한다. <禮記 月令>

칩연[蟄燕] 겨울에 꼼짝 않고 암혈(岩穴) 속에 숨어 지내는 제비를 말한다.

칩충배호[蟄蟲坏戶] 벌레들이 칩거(蟄居)하기 좋게 흙을 가지고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두문불출(杜門不出)하며 숨어 지내는 것을 말한다. <禮記 月令>

[] 무게를 다는 저울.

[] 일의(一衣)를 가리키는 말.

칭성인명[稱聖人名] 성인의 이름을 함부로 쓰거나 부르는 것.

 

 



번호 제     목 조회
5333 가성운불비[歌聲雲不飛]~가성울울[佳城鬱鬱]~가성일관[佳城日關] 1859
5332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1383
5331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1437
5330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1384
5329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1262
5328 가서한[哥舒翰]~가석이참[嘉石以慙]~가선[歌扇]~가선[嘉善] 1302
5327 가서백란[佳婿伯鸞]~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1358
5326 가생척축 복소선실[賈生斥逐 復召宣室]~가생통한[賈生痛漢]~가서[哥舒]~가서[嘉瑞] 1293
5325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1416
5324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485
5323 가상[可尙]~가상원령[假湘源令]~가색[稼穡]~가생[賈生] 1176
5322 가산[假山]~가산[賈山]~가삽삼만축[架揷三萬軸] 213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