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탕년한[湯年旱]~탕망해[湯網解]~탕명[湯銘]~탕목금[湯沐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53  

[] 지금의 안휘성 탕산현(碭山縣) 남쪽이다.

탕곡[湯谷] 해가 돋는 곳. 양곡(暘谷).

탕년한[湯年旱] 탕년은 은() 나라 탕 임금이 다스리던 때로 이때 9년 동안이나 가뭄이 들어서 상림(桑林)에서 기우(祈雨)하였다.

탕라삼면개[湯羅三面開] 관대한 처사를 비유하는 말. ()이 들에 나가 사면으로 그물을 치고 기축(祈祝)하는 사람을 보고서, 그것이 너무 잔인하다 하여 삼면을 터놓게 한 다음 재차 기축을 하게 하였다는 고사임. 본래의 문자는 탕망(湯網). <呂覽 異用>

탕망해[湯網解] () 나라 탕왕(湯王)이 그물을 치고 사냥을 할 때 3()의 짐승은 모두 놓아주고 1면의 짐승만 잡았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형정(刑政)을 관대하게 하여 죄를 용서해 주는 것을 가리킨다. <呂氏春秋 卷10 孟冬紀 異用>

탕명[湯銘] () 임금이 자신을 경계하기 위하여 목욕하는 그릇에 새긴 명()을 말한다. 그 그릇에 참으로 날로 새롭게 하고 날로 새롭게 하며, 또다시 날로 새롭게 한다.[苟日新 日日新 又日新]”는 명()을 새겨 스스로를 경계하였다. <大學 傳二章>

탕목가명수[湯沐加名數] 군주(君主)의 칭호를 내렸다는 말이다. 왕세자(王世子)의 적녀(適女)10세가 되면 정2품인 군주의 봉호를 받았다. 탕목은 탕목읍(湯沐邑)의 준말로, 부세(賦稅)를 개인적으로 거두어들이던 사읍(私邑)을 말한다.

탕목금[湯沐金] 황제와 그 일족들을 위해 사용되는 경비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881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2954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1828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1822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1730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782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1799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1826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1964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1807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2017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212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