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탕목읍[湯沐邑] ~ 탕무작효시[湯武作嚆矢] ~ 탕반구자명[湯盤九字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72  

탕목읍[湯沐邑] 공신 또는 특정인에게 목욕 비용으로 쓰게 한다는 뜻으로 국가에서 특별히 내려준 채지(采地).

탕목읍[湯沐邑] 원래는 고대에 제후들이 천자를 조현할 때 영지의 일부를 하사하여 그곳에서 나오는 부세로 제후들이 조현을 위해 들어가는 비용을 충당토록 한 것을 의미했으나 한나라 이후 황제, 황후, 공주 등의 사유토지를 지칭했다.

탕목읍[湯沐邑] 춘추시대 이전에는 천자가 제후들에게 하사한 봉읍이다. 제후가 입조할 때 몸을 깨끗이 하라는 뜻에 하사하여 그 비용으로 사용하라는 뜻에서 하사한 땅이다. 전국 시대에 접어들어서 제후가 그 대신들에게 하사한 땅도 같은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탕무[湯武] () 나라의 걸왕(桀王)을 쳐서 은() 나라를 일으킨 성탕(成湯),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쳐서 주() 나라를 일으킨 무왕(武王)을 말한다.

탕무덕시참[湯武德始慚] 참덕(慚德)이란 덕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뜻으로, 즉 부덕함을 이른 말이니,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이 모두 신하의 신분으로서 천자인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을 정벌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탕무작효시[湯武作嚆矢] 효시(嚆矢)는 시초를 뜻하는 말. 탕임금과 무왕은 똑같이 전벌(戰伐)과 살륙(殺戮)을 하여 끝내 천하를 차지하였기에, 특히 탕임금은 하()의 걸왕(桀王)을 정벌하여 남소(南巢)로 내친 다음, 자신의 덕에 부끄러움을 느끼어 이르기를 나는 후세에 나의 행위가 구실(口實)이 될까 염려된다.” 하였으므로 한 말이다. <書經 仲虺之誥>

탕반[湯盤] 은 탕왕(殷湯王)의 목욕반(沐浴盤). 스스로 경계하는 것을 말한다. () 임금이 목욕하는 그릇에 참으로 날로 새롭게 하고 날로 새롭게 하며, 또다시 날로 새롭게 한다.[苟日新 日日新 又日新]”는 명()을 새겨 스스로를 경계하였다.

탕반구자명[湯盤九字銘] 탕반은 은 나라 탕왕(湯王)의 세숫대야란 말이고, 구자명은 거기에 새겨 놓은 아홉 자 경계하는 글인 정말로 오늘 옛날에 물들었던 때를 깨끗이 씻어 내어 스스로 새롭게 하고 그 다음날 또 어제 물들었던 때를 깨끗이 씻어 내어 스스로 새롭게 하되 이처럼 간단없이 물든 때를 씻어 내어 신심의 순수한 것을 보존한다.[苟日新 日日新 又日新]”이다. <大學>

 

 



번호 제     목 조회
293 태관[太官]~태광[台光]~태괘[泰卦]~태구배장[太丘陪杖] 1837
292 홍사미[虹沙彌]~홍삼[紅衫]~홍상[紅裳]~홍설[紅雪]~홍속[紅粟] 1837
291 천파[天葩] ~ 천편일률[千篇一律] ~ 천하구가윤속계[天下謳歌允屬啓] 1836
290 천하로[天下老] ~ 천하소[天下小] ~ 천하하상출호지[天下何嘗出戶知] 1836
289 천장지구[天長地久] ~ 천장회파두표작[天漿會把斗杓酌] ~ 천전운막[天田雲幕] 1832
288 쾌독파거[快犢破車]~ 쾌등오[噲等伍] ~ 쾌종위오[噲終爲伍]~ 쾌활음[快活吟] 1832
287 칠웅[七雄] ~ 칠원리[漆園吏] ~ 칠월편[七月篇] ~ 칠유[七喩] 1831
286 토낭[土囊]~토만두[土饅頭]~토모삼굴[兎謀三窟]~토목형해[土木形骸] 1828
285 칠착[七鑿] ~ 칠향거[七香車] ~ 칠현[七賢] ~ 칠협[七莢] ~ 칠흥[七興] 1827
284 투아[偸兒]~투용장[投龍杖]~투유객할[投留客轄]~투의성[鬪蟻聲] 1827
283 토반진갱[土飯塵羹]~토봉[吐鳳]~토사구팽[兎死狗烹]~토사호비[兎死狐悲]~토세[免勢] 1826
282 파강[播降]~파강미[播糠眯]~파개[爬疥]~파경상천[破鏡上天] 1825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