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택리인위미[擇里仁爲美]~택문구[澤門謳]~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86  

택량[澤梁] 못에 설치한 어장(漁場).

택리인위미[擇里仁爲美] 논어(論語) 이인(里仁)공자가 말하기를, ‘마을의 인심이 인후(仁厚)한 것이 아름다우니, 마을을 가려 산다고 하더라도 어진 마을에 살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 하였다.” 하였다.

택목당[澤木堂] 택당이 여강(驪江) 가에 지은 택풍당(澤風堂)을 가리킨다. 주역(周易) 택풍대과괘(澤風大過卦)의 상사(象辭)못의 물이 나무 위에까지 차오른다.[澤滅木]”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택문구[澤門謳] 택문은 춘추 시대 송() 나라 도성의 남문(南門)이다. 송 나라 재상 황국보(黃國父)가 평공(平公)을 위하여 대()를 지으면서 백성의 추수(秋收) 일에 방해를 입히자, 대를 짓는 자들이 노래하기를 택문의 얼굴 하얀 사람은 실로 우리에게 이 공사를 일으키었고 도읍 안의 얼굴 검은 사람은 실로 우리 마음을 위로해 주네.[澤門之晳 實興我役 邑中之黔 實慰我心]”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左傳 襄公十七年>

택반[凙畔] 연못가. 초사(楚辭) 어부사(漁夫辭)굴원이 쫓겨나 강담(江潭)에 노닐고 택반에서 심경을 노래하였다.”고 한 데서 나온 것으로, 벼슬에서 쫓겨나 지내는 궁벽한 물가를 말한다.

택반객[澤畔客] 조정에서 쫓겨나 실의(失意)의 나날을 보내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 나라 굴원(屈原)어부사(漁父辭)’굴원이 쫓겨난 다음에 강담(江潭)에서 노닐고 택반(澤畔)을 거닐며 읊조렸다.”고 하였다.

택반고[澤畔枯] 택반고는 초() 나라 굴원(屈原)을 가리키는 말로 그의 어부사(漁父辭)’굴원이 조정에서 쫓겨나 택반(澤畔)에서 행음(行吟)할 적에 그 모습이 마른 나무등걸처럼 되었는데[形容枯槁], 이때 어부가 그를 알아보고는 탄식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택반노[澤畔老] 초사(楚辭) 어부(漁夫)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강담(江潭)에서 노닐고 택반(澤畔)에서 읊조렸다.”고 하였다.

택반다기적[澤畔多羈迹] 억울하게 조정에서 쫓겨나 불우한 나날을 보내는 인사들을 말한다. ()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강담(江潭)에서 노닐고 택반에서 행음(行吟)하였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楚辭 漁父辭>

택반신[澤畔身] 굴원의 어부사(漁父辭) 중에 가고 가면서 택반(澤畔)에서 읊조릴 때, 안색은 초췌하고 형용은 고고(枯槁)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다.

택반음[澤畔吟] 전국 시대 초()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방축(放逐)된 뒤 실의에 잠겨 강가에서 노닐고 못가에서 읊조렸던[游於江潭 行吟澤泮]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楚辭 漁夫>

택복견[澤腹堅] 인생의 막바지임을 뜻한 말이다. 예기(禮記) 월령(月令)끝겨울 달에는 수택(水澤)이 꽁꽁 얼어붙는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341 호복기사[胡服騎射]~호복의[濠濮意]~호부[虎符]~호분[胡紛]~호분[虎賁] 1946
340 홍애[洪崖]~홍애견박[洪崖肩拍]~홍애자[洪厓子]~홍약[紅藥] 1943
339 무미랑[武媚娘] ~ 무미만굴[霧迷蠻窟] ~ 무병자구[無病自灸] 1939
338 박혁현호이[博奕賢乎已] ~ 박효백[朴孝伯] ~ 박희[薄姬] 1938
337 철습[綴拾] ~ 철심인[鐵心人] ~ 철연[鐵硯] 1937
336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1937
335 서견[噬犬] ~ 서경[西京] ~ 서경루망[西京漏網] 1935
334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1935
333 철적[鐵笛] ~ 철점은구[鐵點銀鉤] ~ 철철[掣掣] 1929
332 청열석[淸裂石] ~ 청영계남월[請纓繫南越] ~ 청오술[靑烏術] 1926
331 택우천형[澤虞川衡]~택풍괘[澤風卦]~택풍대상[澤風大象]~탱장문자[撑腸文字] 1926
330 첨연무가인[簷燕舞佳人] ~ 첨전홀후[瞻前忽後] ~ 첨해옥[添海屋] 1918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