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26  

팔고[八苦] 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노고(老苦)병고(病苦)애별리고(愛別離苦)원증회고(怨憎會苦)구부득고(求不得苦)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 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옛날에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박아(博雅)하고 호고(好古)하니, 팔공(八公)의 무리가 모두 그 덕을 흠모하고 그 인()에 귀의(歸依)하였다.”라고 하였는데 팔공은 좌오(左吳)이상(李尙)소비(蘇飛)전유(田由)모피(毛披)뇌피(雷被)진창(晉昌)오피(伍被)이다.

팔공초목진감시[八公草木盡堪猜] 팔공산은 안휘성(安徽省) 동남방에 있는 산 이름인데, 진 효무(晉孝武) 태원(太元) 8(383)에 부견(苻堅)이 이 산의 초목을 보고 모두 진() 나라의 군사로 의심하였다.

팔관[八關] 팔관재(八關齋)의 약칭. 부처를 받드는 자가 갖는 재로서 남조(南朝) 때에 성행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성행하였다.

팔관대회[八關大會] 고려 때 행해진 국가적 의식의 하나이다. 고려 태조는 불교를 신앙하는 동시에 팔관회, 연등회(燃燈會)와 같은 종래의 신인공락(神人共樂)적인 의식도 중시하여 이를 국가 제전(祭典)으로 삼았다.

팔괘[八卦] 8()는 주역(周易)의 건()()()()()()()()8()를 말한다. 복희씨(宓犧氏)가 임금이 되자 용마(龍馬)가 그림을 지고 하수(河水)에서 나왔다. 복희씨는 이 그림을 보고 법받아서 팔괘를 그었는데, 이것을 복희선천(伏犧先天)’이라 한다.

팔굉[八紘] 팔방(八方)의 아주 먼 곳을 가리킨다. 구주(九州)의 바깥에는 팔인(八殥)이 있고, 팔인의 바깥에는 팔굉이 있다고 한다. <淮南子>

 

 



번호 제     목 조회
101 화유[火維]~화음[華陰]~화의[化衣]~화이부동[和而不同]~화익선[畫鷁船]~화일[畫一] 1425
100 홍노[洪爐]~홍농도하[弘農渡河]~홍니[紅泥]~홍니[鴻泥]~홍도설니[鴻蹈雪泥] 1419
99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414
98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1413
97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1408
96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1408
95 황량몽[黃粱夢]~황량미숙[黃梁未熟]~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황량지몽[黃粱之夢] 1406
94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405
93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404
92 항아계수[姮娥桂樹]~항아분월[嫦娥奔月]~항액[亢軛]~항영[項嬰] 1403
91 해운삼천[海運三千]~해원[解元]~해월[海月]~해위[奚爲]~해율[嶰律]~해은[偕隱] 1403
90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403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